전기차 화재 막는 '전고체 배터리' 개발
입력 2021.03.07. 13:58 수정 2021.03.07. 15:03고체전해질 약점 해결

최근 전기차 보급이 확대되면서 차량 배터리 화재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전남대학교 연구진이 전기차의 화재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는 배터리 개발에 성공해 눈길을 끌고 있다.
7일 전남대에 따르면 신소재공학부 박찬진 교수 연구팀이 고체전해질의 약점을 해결한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전고체 배터리는 구성 재료가 모두 고체 물질이어서 화학적으로 안정됨에 따라 특히 화재에 안전하다.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에 비해 성능까지 우수해 현재 전기차와 배터리 분야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다.

이 때문에 국·내외에서 전고체 배터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으나 핵심부품인 고체전해질의 약점을 극복하지 못했다. 전남대 연구팀이 이번 연구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지금까지 전기차 등에 주로 사용돼 온 리튬이온 배터리는 유기계 액체 전해질이 사용됐다. 불에 잘 타는 성질 때문에 배터리 화재의 주요 요인으로 지적돼 왔다.
이 연구결과는 엘스비어에서 발간하는 최상위 학술지인 '에너지 스토리지 머티리얼스' (Energy Storage Materials)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선도연구센터)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ESS기술개발사업) 등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박찬진 교수는 "복합 고체전해질이 적용된 전고체 배터리는 화재발생 가능성을 낮춰 전기차의 보급 확산에 기여하는 것은 물론 모바일, 의료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도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김대우기자 ksh430@srb.co.kr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srb.co.kr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많이본 뉴스
- 1코스트코 등 입점 요구 목소리 고조↑
- 2[코로나 백신 접종] 광주 15일부터 전시민에 확대
- 3[4·15 총선 1년] 국회 주름잡던 호남 중진들 어디서 뭐하나
- 4"미얀마와 광주는 동병상련"···한달 만에 1억3천 모금
- 5올 전남 4개 학교 폐교···학생 '0명' 학교도 16곳
- 6광주자치경찰위원 사실상 확정··· 내달 출범 속도
- 7[전라도 참맛을 아시나요⑧] 곡성군
- 8[긴급점검-롯데 광주월드컵점 불법 전대 논란 그 후②] 광주시 공공체육시설 관리 구멍
- 9유근기 곡성군수 "소비 패턴 맞는 작물 육성 농가 소득에 보탬되도록"
- 10순천 해룡면 와온해변에서 해상구조물 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