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산도 ‘겨울 딸기’ 대규모 서식 눈길
입력 2020.01.15. 17:23
신안군은 흑산도에 자생하고 있는 겨울딸기가 열매를 맺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흑산도에서는 겨울에 파는 딸기가 아닌 식물 이름 그 자체가 ‘겨울딸기’인 식물이 대규모로 서식하고 있다. 꽃이 초여름부터 9~10월까지 피고 열매가 가을에서부터 겨울에 익기 때문에 ‘겨울딸기’라고 한다.
겨울딸기의 줄기는 서지 않고 기는 듯 자라고 가지는 오히려 듬성듬성한데 털이 빽빽한 것이 특징이다. 잎은 전체적으로는 달걀모양이거나 원형에 가까운데 다만 가장자리가 크고 작게 결각이 나 있고 밑부분은 심장 모양처럼 돼 있다.
또 꽃가루받이가 이뤄지면 서서히 열매가 익어 겨울이면 푸른 잎에 붉게 어우러지는 맛있고 멋진 열매를 볼 수 있다.
신안에서 겨울딸기를 볼 수 있는 곳은 가거도, 흑산도, 홍도다.
내륙의 추운 곳에서는 겨울을 날 수 없고 해안을 중심으로는 뭍에서도 겨울나기가 가능하다. 추운 것만 피해 주면해안이나, 건조한 곳, 그늘진 곳, 양지에서도 별도의 장소를 가리지 않고 잘 자란다.
겨울딸기의 특징은 나무 종류들보다 줄기는 나무라고 하기엔 좀 연약하고, 풀이라고 하기엔 목질부가 있어 반관목이라고 부른다.
신안=박기욱기자 pkw4803@srb.co.kr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srb.co.kr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많이본 뉴스
- 1코스트코 등 입점 요구 목소리 고조↑
- 2[코로나 백신 접종] 광주 15일부터 전시민에 확대
- 3[4·15 총선 1년] 국회 주름잡던 호남 중진들 어디서 뭐하나
- 4"미얀마와 광주는 동병상련"···한달 만에 1억3천 모금
- 5올 전남 4개 학교 폐교···학생 '0명' 학교도 16곳
- 6광주자치경찰위원 사실상 확정··· 내달 출범 속도
- 7[전라도 참맛을 아시나요⑧] 곡성군
- 8[긴급점검-롯데 광주월드컵점 불법 전대 논란 그 후②] 광주시 공공체육시설 관리 구멍
- 9순천 해룡면 와온해변에서 해상구조물 화재
- 10유근기 곡성군수 "소비 패턴 맞는 작물 육성 농가 소득에 보탬되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