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칼럼-중앙공원을 '도시 숲'으로 만들자

@류성훈 입력 2017.08.31. 00:00
류성훈 사회부장

중앙공원은 광주의 대표적 시민 휴식 쉼터이다. 89만평(294만㎡)에 이르는 중앙공원은 광주 중심부에 위치, 도시의 허파 역할과 함께 도심의 녹지공간이자 생태축으로 중요한 가치를 갖고 있다. 인근에는 서구 금호동과 풍암동, 화정동, 남구 주월동 등에 걸쳐 반경 1㎞ 이내에 20만명 이상이 거주하고 있다. 월드컵경기장을 포함한 근린체육시설과 풍암호수, 금당산 등을 끼고 있어 인근 주민들 뿐만 아니라 광주시민들의 쉼터로, 산책 및 등산 코스로 인기를 끌고 있다.

그래서 중앙공원에는 평일과 주말, 오전과 오후를 불문하고 항상 시민들로 북적 북적 거린다. 여가 생활을 하고, 휴식을 취하고, 운동을 하고, 데이트를 즐기는 일상으로 광주 시민들의 삶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그런데 광주 도심의 허파로, 뉴욕 센트럴파크를 롤모델로 삼고 있는 중앙공원이 공원 면적의 30%가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중앙공원이 공원일몰제 시행 대상이기 때문이다. 공원일몰제는 지자체가 도시공원 계획지구로 지정 고시한 후 20년안에 공원을 지정하지 않거나 매입하지 않을 경우 공원 지정에서 해제되는 제도이다.

광주에서 면적이 가장 넓은 중앙공원은 광주시가 '민간공원 특례사업' 대상지로 선정한 10개 공원 가운데 한 곳으로 9월께 민간 개발 공모가 진행될 예정이다. 오는 2020년 공원일몰제가 시행될 경우 공원지구 해제가 불가피해 광주시가 궁여지책으로 중앙공원을 '민간공원 특례사업' 대상지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중앙공원은 지난 1975년 공원으로 지정된 이후 42년간 공원 조성 면적이 전체 면적의 6.3%에 그치고 있다. 사유지가 73%(국공유지 27%)에 달해 3년 뒤 일몰제로 공원에서 해제되면 난개발은 불을 보듯 훤하다.

광주시가 사유지를 매입해서 번듯한 공원으로 가꾸려면 1조원(부지 매입비 7천억원 포함) 안팎의 지방재정이 소투입될 것으로 분석된다. 재정이 열악한 광주시로서는 3년도 안되는 짧은 시간동안에 공원을 지켜낼 돈을 감당할 엄두도 내지 못할 상황이어서 '민간공원 특례사업'이라는 고육지책을 내놓았다.

공원지구 해제라는 난제를 처음 접한 광주시, 그리고 내년 시장선거를 앞두고 재선 의지를 피력하고 있는 윤장현 시장은 이래도 저래도 어려움이 닥칠 것이 뻔한 만큼 애가 타들어 가고 있을 것이다.

광주시 입장은 최대한 난개발을 막아 공원의 70%라도 지키겠다는 의도로 받아들여진다. 그러나 시민들은 중앙공원을 원래대로 도심 숲으로 지켜내기를 바라고 있다. 민간공원 특례사업이 민간업자에게 개발권을 주는 특혜라고도 생각한다.

민간공원 특례사업이 추진돼 중앙공원의 30%인 90만㎡ 가량이 개발된다고 가정할 경우 5만 세대의 아파트와 상업시설 등이 들어선다. 5만 세대가 중앙공원 내에 들어서게 되면 시민들이 그동안 누렸던 초록의 공간에서의 여유는 찾을 수 없게 될 것이 뻔하다.

도심 숲을 둘러싸고 전망 좋은 고층 아파트들이 들어서면, 광주 도심의 허파 역할은 쇠락하고, 중앙공원이 '그들만의 정원'으로 되버릴 우려도 높다.

중앙공원이 광주의 최대 '노른자땅'으로 평가받으면서 눈독을 들이고 있는 메이저 건설사들이 상당수 있고, 이미 어떤 어떤 업체들이 컨소시엄으로 중앙공원 개발에 뛰어들 것이라는 소문 또한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렇다면 중앙공원을 '광주의 센트럴파크'로 조성할 수 있는 방법은 뭘까. 간단하다. 중앙공원을 국가도시공원으로 조성하면 된다. 국가와 지자체가 합심해서 재원을 마련한다면 깔끔하게 정리된다.

그럼, 국가도시공원으로 조성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시민들과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나서 내셔널트러스트 운동을 벌이고 광주시는 토지매입을 위해 예산을 확보해야 하며 정부의 예산 지원을 이끌어 내야 한다.

가장 시급한 것은, 중앙공원이 도시숲으로 도시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삶의 질을 높이는 생태문화공간으로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광주시가 문재인 정부를 설득하는 일이다. 문재인 대통령도 후보시절에 '광역시도별 국가공원 1곳 지정' 요구에 '필요하다'는 의견을 피력했던 만큼 국가도시공원 지정 가능성이 낮지 않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국가도시공원 지정 요건 완화와 지방재정 확보가 걸림돌이지만, 이 역시 의지만 있다면 무난히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필자와 만난 윤 시장 역시 "6대 광역시 별로 대표 공원 한 곳씩이 국가도시공원으로 지정되도록 노력하고 있다"면서 "중앙공원은 발전보다는 공원으로 지켜져 시민들에게 편한 휴식을 주는 '광주의 센트럴파크'로 조성됐으면 좋겠다"고 광주시가 '큰 그림'을 그리고 있다는 것을 언뜻 시사했다.

그런데 30일 열린 광주시 첫 '도시공원 민·관 거버넌스' 회의에서 중앙공원을 비롯 중외·일곡공원 등 3대 공원을 국가공원으로 지정 추진한다는 해법을 제시, 생뚱맞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중앙공원 한 곳 지정도 버거운 마당에 세 곳 모두를 국가공원으로 추진키로 한다는 것은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쇄도 하고 있다. 선택과 집중을 통해 가장 규모가 큰 중앙공원 만이라도 국가공원으로 지정되도록 온 힘을 모아야 할 시기이기 때문이다.

지금부터는 지역 국회의원 등 정치인들도 '광주시의 일'이라고 떠밀며 중앙공원의 국가공원 지정에 대해 강 건너 불 구경만 하듯 해서는 안된다. 여기에 시민들도 시민사회·환경단체들도 한 목소리로 국가도시공원 지정에 힘을 보태야 할 것이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