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상)광주를 언제까지 '고용절벽' 상태로 놔둘 것인가

@무등일보 무등일보 입력 2018.10.17. 00:00

일자리는 인구와 직결된다. 일자리가 있어야 사람이 찾아들어 머물고 생산과 함께 소비하며 경제가 선순환한다. 일자리가 없다면 사람들이 타지로 나가면서 도시가 활력을 잃고 경쟁에서 뒤쳐질 수 밖에 없다.

문재인 정부와 민선 7기 광주시의 최대 화두는 일자리 창출이다. 광주의 경우 '일자리가 넘쳐나는 광주 만들기'가 공약 1호였다.

광주시는 당초 현대자동차와 연계해 노사상생형 광주형일자리를 추진해왔다. 노와 사, 민이 함께 참여하는 모델이었다. 이런 광주형일자리 사업이 난관에 부딪혔다. 노동계가 참여를 거부하면서다. 노동계의 참여 거부로 현대차는 협약지연에 적잖은 부담을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현대자동차 완성차 광주 공장 설립이 무산 위기에 몰리면서 곳곳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광주형 일자리 성공을 적극 지원해왔던 정부 여당의 기류도 심상치 않다. 광주형 일자리가 비틀거리는 양상을 보임에 따라 군산시 등 타 지자체가 현대차 투자를 유치하려는 움직임을 적극화하고 있을 정도다.

특히 사회 진출을 앞둔 지역의 청년들은 답답하기만 하다. 그들이 지역에 머물며 삶을 이어갈 앞으로의 터전이 마땅치 않아서다.

광주고용노동청에 따르면 올 2분기 광주지역 청년고용률은 40.8%로 전국 평균(42.5%)을 밑돈다. 지난해 광주에 거주하는 청년(15~29세) 인구는 30만4천여 명으로, 전체 인구의 20.9%, 전국 청년 인구의 3.1%를 차지했다. 이 기간 광주에서 타 시·도로 떠난 인구 8천여명 가운데 청년 인구(5천여 명)가 절반 이상을 넘은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달 호남통계청이 발표한 '광주·전남 일자리지표'에서도 지난해 광주 고용률은 59로 전국 평균(60.8)에 못 미쳤다.

상황이 이런 가운데 지역의 시민단체와 교육계, 경제계는 광주시의 대책 및 노동계의 일자리 모델 참여를 촉구하고 나섰다. 광주시민사회단체총연합은 16일 광주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광주형일자리는 노사민정의 대타협을 바탕으로 빛그린산업단지에 완성차공장을 설립해 지역경제를 살리고 지속가능한 양질의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는 사업이다"며 이 사업이 무산위기에 놓인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를 감추지 않았다.

광주형일자리는 성공할 경우 1만여개의 일자리가 생겨날 것으로 기대된다. 직접 고용 뿐 아니라 관련업체의 일자리도 무시할 수 없다. 광주시가 노동계에 보다 적극적이고 성의있는 태도를 보이고 노동계 또한 이에 호응해 협력해야 마땅하다. 지역의 청년들과 미래를 위해 노·사·민·정이 다시 머리를 맞대기를 촉구한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