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기록적 호우에 사망 7명·실종 6명···이재민 163명뉴시스
- [속보] 수도권 행정·공공기관 출근 오전 11시 이후로뉴시스
- 블링컨, '중·러 견제' 아프리카 순방서 "선택 지시 안 해"뉴시스
- 기록적 호우에 사망 7명·실종 6명·부상 9명···이재민 163명뉴시스
- 반도체 이어 전기차 배터리도 中 배제...상원 통과 인플레감축법 파장뉴시스
- '다누리'까진 좋았는데···韓 위성 2대 하반기 발사 일정 '빨간불'뉴시스
- 與, 전국위 소집···비대위 체제 전환·이준석 해임 유력뉴시스
- 코로나19 재확산에 대구공항 동남아 노선 줄었다···주 2회 운항뉴시스
- 은행 요구불예금 37조 증발···대출금리 더 오르나뉴시스
- "낮에는 공장, 밤에는 고깃집"...생활비 부담에 '투잡' 늘었다뉴시스
기사내용 요약
英대학 "미세플라스틱에 붙어 바이러스 3일 생존"
폐수처리장에서 걸러지지 않아…3일안에 해변까지
"미세플라스틱에 바이러스 전염성까지…위험성↑"

[서울=뉴시스]문채현 인턴 기자 = 영국 한 대학 연구팀은 실제 환경에 존재하는 깨끗한 물에서 바이러스가 미세플라스틱에 부착돼 최대 3일까지 전염성을 유지하며 생존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3일은 실제 환경에 존재하는 물이 폐수처리장에서 바다에 도달하기 충분한 시간으로, 바이러스가 붙은 미세플라스틱이 바다로 흘러간다면 일반 사람들에게 쉽게 노출될 수 있어 위험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27일(현지시간)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영국 스코틀랜드에 위치한 스털링 대학 연구팀은 이날 영유아에게 장염을 일으키는 로타바이러스 등 장내 바이러스가 민물에서 미세플라스틱에 붙어 최대 3일간 감염력을 유지한다는 내용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번 연구의 책임자인 리처드 퀼리엄 교수는 "우리는 바이러스가 미세플라스틱에 부착할 수 있으며, 미세플라스틱이 바이러스를 물속에서 최대 3일 생존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논문에 따르면 로타바이러스나 노로바이러스와 같이 설사나 위장장애를 일으키는 장바이러스가 물속에서 5㎜ 미만의 작은 미세플라스틱 입자에 부착해 생존했다.
퀼리엄 교수는 "이전에 시행됐던 연구는 무균환경에서 진행됐다"며 "이번 연구는 바이러스가 실제 환경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 관찰한 첫 번째 연구"라고 말했다.
그는 "(연구 당시에는) 바이러스가 실제 환경에 존재하는 미세플라스틱에 '히치하이킹'하여 얼마나 잘 살아남을 수 있을지 확신할 수 없었지만, 연구 결과 바이러스들은 살아남았고 전염성도 유지했다"며 "이 현상이 잠재적으로 인간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 연구는 플라스틱이 세균과 바이러스를 어떻게 운반하는지 연구하기 위해 영국 자연환경연구위원회로(NERC)부터 185만 파운드(약 29억3000만원)를 후원받아 진행됐다.
연구 결과 미세플라스틱이 실제 환경에서 병원체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는 결론을 내렸고 관련 논문은 이날 '환경 오염 저널'에 발표됐다.

퀼리엄 교수는 "실제 환경에서 3일은 폐수처리장 물이 공공 해변까지 갈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라고 말했다.
그는 "폐수처리장에선 미세플라스틱을 거를 수 없다"며 "폐수처리장에서 하수 오물을 처리하기 위해 최대한의 노력을 기울여도 그곳에서 배출된 물에는 여전히 미세플라스틱이 들어있다"고 전했다.
또한 "바다로 흘러들어온 미세플라스틱 입자는 그 크기가 너무 작아서 수영하는 사람들이 삼키기도 하고, 가끔은 렌틸콩 크기의 플라스틱 입자들이 해변에 쓸려와 어린이들이 이를 주워 입에 넣기도 한다"고도 덧붙였다.
퀼리엄 교수는 "사람들을 병 걸리게 하는 데에는 많은 바이러스 입자가 필요하지 않다"며 "아직 미세플라스틱 자체가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는 정도는 불확실하지만 병원균이 부착됐다면 건강에 심각한 위협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연구원들은 "현재 바이러스가 최대 3일까지 전염성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했지만 향후 이어지는 연구를 통해 이들이 얼마나 오래 전염성을 유지할 수 있을지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tarsun@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국경 개방 2달...일본 찾은 관광객 1위는 한국" 기사내용 요약일본관광청, 입국 희망자 3명중 1명은 한국인6월10일부터 단체여행 한해 국경 개방코로나 재확산세 불구 엔저로 경쟁력[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김포-하네다 항공 노선 운항이 재개된 29일 오전 서울 강서구 김포국제공항 국제선 탑승장에서 승객들이 여객기에 탑승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2022.06.29. photo@newsis.com[서울=뉴시스] 박주연 기자 = 일본 내 코로나19 재확산세가 심각한 가운데 우리 국민들이 여전히 일본 여행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일본관광청이 일본 후생노동성 입국자 건강 확인 시스템(ERFS)을 인용해 9일 공개한 일본 입국 희망자 수는 지난 4일 기준 1만3516명으로, 이중 한국인이 1위를 차지했다.한국인 일본 입국 희망자 수는 4753명으로, 전체의 35.2%를 차지했다. 일본 입국 희망자 3명 중 1명은 한국인인 셈이다. 한국에 이어 미국이 1658명으로 2위, 태국이 1164명으로 2위를 각각 나타냈다. 뒤를 이어 프랑스(860명), 호주(552명) 순이었다.전체 일본 입국 희망자 1만3516명 중 8597명은 8월5~31일 일본을 방문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9월 방문 희망자는 3280명, 10월 이후 방문 희망자는 1639명이었다.일본은 지난 6월10일부터 단체여행에 한해 여행객에게 국경을 개방하고 있다.하지만 CNN이 보도한 일본 출입국재류관리청(ISA) 통계에 따르면 국경이 개방된 6월10일부터 한달간 일본을 찾은 외국인 여행객은 1500명에 불과했다. 이중 한국과 태국인이 각각 400명, 미국인은 150명을 차지했다. 비자 신청 등에 2~3주가 소요되며 첫달 방문객이 적었다는 분석이다.일본에서는 최근 하루 20만명에 이르는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는 등 재확산세가 심각한 상황이다.하지만 3년 가까이 억눌렸던 여행 욕구가 터져나오고 있는데다 역대급 엔저까지 겹치며 일본 여행에 대한 매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세계적 인플레이션으로 전세계의 여행 물가가 치솟고 있지만 일본은 엔저로 인해 상대적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이달 초 오사카 패키지 여행을 다녀온 A씨는 "편의점 콜라 500ml 가격이 한국에서는 2000원인데 일본에서는 1300원"이라며 "물가 차이를 제대로 느끼고 왔다"고 했다.한국과 함께 최대 관광객 송출국가였던 중국과 대만 등의 엄격한 규제를 유지하는 것도 한국이 1위국으로 부상한 이유로 꼽힌다.일본 관광청 관계자는 "코로나19 이전 한국·중국·대만·홍콩 등이 방일 여행의 대부분을 차지해왔다"며 "하지만 중국·대만 등이 코로나19 방역규제를 여전히 강도높게 유지하면서 한국 관광객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커진 상황"이라고 설명했다.[인천공항=뉴시스] 최동준 기자 = 서울시는 오는 10일 개막하는 글로벌 관광축제인 '서울페스타 2022' 등을 앞두고 일본·대만·마카오 관광객의 무비자 입국을 허용키로 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4일 인천국제공항 모습. 2022.08.04. photocdj@newsis.com한편, 일본인들의 한국 입국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1~6월 일본인 한국 입국자는 1만7280명으로, 지난해 동기에 비해 142.8% 증가했다.일본은 2001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인이 가장 많이 찾은 해외 여행지 1위였다. 코로나19 직전까지 한 해 700만명 가량이 일본 여행을 떠났다. 일본에서도 연간 300만명 정도가 한국을 찾았다.하지만 일본이 2019년 한국의 강제동원 노동자 배상 판결 보복 조치로 반도체 소재 수출을 규제하며 '노재팬' 열풍이 불었고, 2020년에는 코로나19까지 확산하며 관광 교류가 완전히 끊어졌다. 일본 정부는 2020년 3월 한국인에 대해 적용했던 90일 이내 무비자 입국 제도를 중단했고, 우리 정부 역시 상호주의 원칙에 따라 일본인의 무비자 입국을 금지했다.현재도 관광비자가 재개됐을 뿐 무비자 입국은 불가능하다. 다만 우리 정부는 '서울페스타'에 맞춰 국가간 상호주의 등을 이유로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지 않았던 일본·대만·마카오 관광객의 무비자 입국을 8월 한달간 한시적으로 허용하고 있다.◎공감언론 뉴시스 pjy@newsis.com
- · 블링컨, '중·러 견제' 아프리카 순방서 "선택 지시 안 해"
- · 반도체 이어 전기차 배터리도 中 배제...상원 통과 인플레감축법 파장
- · '하나의 중국' 폐기하는 대만정책법···미중 갈등 뇌관 부상
- · 몽골방문 왕이, 국회의장에게 중국과의 절대적 유대 확인
- 1'쪼그라든' 광주종합터미널···코로나 직격탄에 이용객 '반토막'..
- 2"늘씬 빵빵 아가씨 눈요기"···여수 버스회사가 흠뻑쇼날 돌린 ..
- 3[위클리]尹, 용적률 높여 250만호+α···추석 물가도 잡는다..
- 4더워도 괜찮아, 실내 스포츠 데이트 장소 3곳!..
- 5양동시장 도로 한복판에 '싱크홀'...2차로 통제..
- 6매력 넘치는 전남 산림휴양시설에 관광객 몰린다..
- 7요즘 물가 역행하는 2500원 짜장면..
- 8국가 보유 토지·상가 판다···5년간 국유재산 16조+ɑ 매각(..
- 914세 여중생 집단폭행, 영상도 유포한 소녀 넷 검찰송치..
- 10제주보다 항공권 더 싼 이곳···한국 관광객 몰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