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美연준 "인플레 목표 달성 위해 향후 금리 지속 인상 적절"뉴시스
- [속보] 美연준, '우크라 전쟁' 상방 압력 주목···"인플레 위험 매우 주의"뉴시스
- 터키- 이스라엘, 4년 만에 대사관 재개에 합의 뉴시스
- 윤 대통령, 오늘 새 검찰총장에 이원석 지명할 듯뉴시스
- "손흥민 겨냥한 인종차별 행위 발생···첼시 구단 조사"뉴시스
- 가솔린엔진 7인승 SUV '티구안 올스페이스', 23일 국내 출시뉴시스
- 北, 담대한 구상 이후에···"오직 자기 힘, 우리 식대로"뉴시스
- 대구 달성군 직물공장서 불···3시간여만에 완진뉴시스
- 대구 서구 공장서 불···1억4700여만원 피해뉴시스
- 한국기원, 초등용 정통 바둑교과서 출간···창의·인성 교재뉴시스
기사내용 요약
KIOST, 바다거북 사체 소화관 분석
34마리 중 28마리 해양플라스틱 섭식

[부산=뉴시스]이동민 기자 = 대한민국 연안에서 폐사한 바다거북의 대다수가 육상에서 바다로 유입된 일회용 포장재와 어업으로부터 나온 쓰레기에 의해 폐사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은 대한민국 연안에서 혼획, 좌초, 표류한 바다거북 폐사체 4종(붉은바다거북, 푸른바다거북, 올리브바다거북, 장수거북) 34마리 중 28마리가 해양 플라스틱을 섭식한 것으로 확인했다고 30일 밝혔다.
KIOST는 국제사회의 바다거북 보호에 동참하고자 여러 관계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우리나라 연안에서 서식하는 바다거북을 보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남해연구소 위해성분석연구센터 심원준, 홍상희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국립생태원과 협력해 바다거북의 플라스틱 섭식 현황을 평가하고자 바다거북 사체의 소화관에서 발견되는 플라스틱 쓰레기의 양과 성질 등을 분석하고 있다.
세 기관은 2017년부터 바다거북 폐사체 공동부검을 진행해 왔으며, 지난 4월 바다거북 보전을 위한 '바다거북 협력연구단'을 공식 발족한 바 있다.
연구단은 최근까지 강원 고성, 부산, 제주, 충남 태안 등 우리나라 연안 12곳에서 발견된 총 61마리의 바다거북 사체의 소화관 내용물 중 1㎜ 이상의 미세플라스틱과 중대형 플라스틱을 분석한 결과, 이 중 34마리에 대한 연구결과를 지난 2월 국제학술지에 발표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바다거북 34마리 중 28마리에서 총 1280개(118g)에 플라스틱이 발견됐으며, 이는 바다거북 1마리가 38개(3g)의 해양 플라스틱을 섭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플라스틱의 형태는 필름형(42%), 섬유형(39%)이, 색상은 하양(42%), 투명(23%)이, 재질은 폴리에틸렌(51%), 폴리프로필렌(35%)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필름 포장재(19%), 비닐봉지(19%), 끈류(18%), 그물류(16%), 밧줄류(11%) 등이 다수 발견됐으며, 초식성 바다거북에서는 섬유형 플라스틱이, 잡식성 바다거북에서는 필름형 플라스틱이 많이 나와 먹이습성에 따른 종별 차이도 확인됐다.
한편 KIOST는 해양으로 유입된 플라스틱 쓰레기(Marine Plastic Debris; MPD)가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플라스틱 쓰레기의 영향평가 기술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사업에서는 부유 중대형 플라스틱 쓰레기 오염, 해양생물의 얽힘 및 섭식 영향, 플라스틱 부착 외래종 및 병원체 이동, 서식지 훼손에 관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홍상희 책임연구원은 "이번 바다거북 폐사체 부검 결과는 해양 플라스틱이 우리나라 연안에 서식하는 바다거북에게 미치는 영향과 해양오염의 실태를 보여준다"라며 "특히 육상에서 기인한 생활 쓰레기와 강이나 바다에서 조업 중 버려지는 폐어구 등 해양 쓰레기 저감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astsky@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혼자 살면 물 더 쓴다···평균 276ℓ 사용 '4인가구 1.8배' 기사내용 요약"가구원 많아질 수록 공동 사용분 많아…1인당 사용 적어"서울 4인 가구 월 평균 수도요금은 1만9980원으로 분석주거 형태별로는 다세대>연립>아파트 순으로 많이 사용[서울=뉴시스]서울물연구원은 18일 전국 지자체 중 처음으로 수돗물 사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 중 '가구'와 '주거'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 수돗물 사용량을 분석해 발표했다. (사진=서울시 제공). 2022.08.18. photo@newsis.com[서울=뉴시스] 조현아 기자 = 서울에서 혼자사는 가구의 1인당 하루 물 사용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4인 가구의 1인당 물 사용량에 비해 1.8배 가량 많았다. 가구원 수가 많아질 수록 전체 물 사용량은 늘어나도 공동으로 쓰는 부분이 많아 1인당 물 사용량은 상대적으로 적다는 분석이다.서울물연구원은 18일 전국 지자체 중 처음으로 수돗물 사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 중 '가구'와 '주거'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 수돗물 사용량을 분석해 발표했다. 서울시 에코마일리지에 가입한 회원 중 13만419가구의 가구.주거 빅데이터와 2018~2021년 상수도사업본부의 수도계량기 검침 데이터를 결합해 이번 연구를 진행했다.연구 결과에 따르면 1인당 하루 물 사용량은 가구원 수가 많아질 수록 감소했다. 가구원 수에 따른 전체 물 사용량을 보면 1인 가구는 하루 평균 276ℓ, 2인가구 420ℓ, 3인가구 522ℓ, 4인가구 610ℓ, 5인가구 687ℓ, 6인가구 764ℓ를 사용했다.반면 1인 기준으로 환산한 하루 평균 물 사용량은 2인 가구의 경우 210ℓ, 3인 가구 174ℓ, 4인가구 152ℓ, 5인가구 137ℓ, 6인 127ℓ로 분석됐다. 전체 사용량은 가구원 수가 많을 수록 늘어났지만, 1인당 사용량은 반대로 나타난 것이다.연구원은 "가구원 수가 많을 경우 세탁이나 설거지, 청소 등에 공동으로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1인당 물 사용량 증가폭은 둔화한 것"이라며 "공동생활이 수도요금과 물 절약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가구별 수도요금은 1인 가구는 월 평균 9480원, 2인 가구는 1만4730원, 3인 가구는 1만7880원, 4인 가구는 1만9980원, 5인 가구는 2만3130원, 6인 가구는 2만5230원 등을 부담했다.주거 특성별로는 규모가 커질 수록 물 사용량도 증가했다. 서울에 거주하는 4인 가구 기준 주택 규모가 132㎡(40평) 이상에서의 물 사용량은 33~66㎡(10~20평) 대비 약 8%(50ℓ) 증가했다. 연구원은 자산 규모가 증가할 수록 수돗물 사용에 여유가 있고 화장실 급수기구, 청소용수 등이 증가함에 따라 물 사용 증가에 영향을 줬다고 해석했다.주거 형태에 따라서도 다세대주택(626ℓ), 연립주택(615ℓ), 아파트(572ℓ) 등의 순으로 하루 평균 물 사용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해당 주택 구분은 에코마일리지 가입자가 직접 입력한 것이라 실제 주택 형태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어 향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차윤경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빅데이터를 활용해 가구원 수별 수돗물 사용량을 분석한 데 의의가 있다"며 "서울시에서 구축 중인 수도계량기 원격검침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상업용 건물의 수돗물 사용량 분석 등으로 연구가 확장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연구원은 향후 출퇴근, 휴일에 따른 유동인구 변화가 수돗물 사용량에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심층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손정수 서울물연구원장은 "시민들에게 수돗물 평균 사용량 정보를 제공해 이번 기회에 물 사용 습관을 돌아보고 절수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로는 수돗물 수요를 예측하고 검침 관련 민원을 예방하는 데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공감언론 뉴시스 hacho@newsis.com
- · [녹유 오늘의 운세] 95년생 모두의 기대 선물로 보답해요
- · 밀양시, "밀양 문화재 야행으로 천년의 얼을 만나보세요"
- · '삼다와 삼무의 섬', '동양의 하와이'로 불리는 제주 관광여행 40대가 주도
- · "안전하고 시원하게"···전주도심 속 워터파크서 무더위 탈출
- 1신세계, 광주에 스타필드·백화점 개발 동시 추진..
- 217년째 표류 어등산 개발 '스타필드'로 돌파구 찾나(종합)..
- 3호남권 최초 '스타필드 광주' 무얼 담나···'체류형 쇼핑테마파..
- 4홈플러스, 당당치킨 이어 가전·식품 최대 80% 할인전..
- 5신세계그룹 어등산 복합쇼핑몰 구상에 서진건설 "유감"..
- 6'광주 복합몰' 백화점 빅3 경쟁 점화···신세계 '투트랙' 승..
- 7'억'소리 나는 한전공대 교수연봉···얼마길래?..
- 8주담대 금리 다시 6%대로···더 오른다..
- 9'교사 노트북 해킹' 대동고 학생 퇴학·0점···교장, 한달만에..
- 10신세계, 어등산에 호남권 첫 스타필드 건립···백화점도 리뉴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