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사혁신처 "6급 이하 공무원 호봉제 폐지 검토 안 해"뉴시스
- 尹, '스튜어드십 코드' 활성화 주문···"은행·기업, 투명한 거버넌스 중요"(종합)뉴시스
- 日 외무성 "강제징용 관련 해법 의사소통 계속"뉴시스
- 권영세 "北, 올해 7차 핵실험 가능성 있어···도발엔 응징 필요"뉴시스
- 5월 대선의 튀르키예, 6개 야당 연합···대 에르도안 단일후보 미정뉴시스
- 장수정, 여자프로테니스 투어 태국오픈 단식 16강행뉴시스
- 세계 1위 매킬로이, 앙숙 리드 제치고 두바이 클래식 우승뉴시스
- 尹 "주인없는 기업 지배구조 선진화해야"···금융위 "제도·규제 글로벌 수준으로"뉴시스
- 尹, '스튜어드십 코드' 활성화 고심···"기업, 공정하고 투명해야"뉴시스
- 이재명 2차 檢 출석···與 "사법 영역" 野 "신독재 폭주"뉴시스
주담대 금리 인상에 수요도 줄고 공급도 감소
민간공원 중 마륵·운암산 등 사업계획절차 진행

계속되는 금리 인상 등으로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내년도 광주 아파트 청약시장도 '안갯속'에 빠졌다.
올해 하반기부터 미분양 사례가 속출하면서 업계 측에서도 내년도 아파트 청약 일정을 확정하지 않으면서다.
14일 부동산 R114 등 관련업계에 따르면 광주지역 아파트 청약은 21일 분양예정인 상무더로제아델리움57센트리에와 민간공원 특례사업으로 추진된 전남대입구 산이고운 신용파크(연내 분양예정)을 끝으로 내년까지 아파트 청약 일정은 현재까지 잡혀있지 않은 상태다.
아파트 등 부동산 시장을 경색시키는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금리 인상으로 인해 수요가 급격히 위축되면서 공급도 위축되고 있다.
특히 기준 금리 인상 여파로 인해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현재 최저 4.61%에서 최고 7.48%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달 평균 주담대 금리가 최저 3.61%에서 5.71%였다는 점에서 1% 이상 오른 셈이다.
하지만 금리 인상이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 은행 대출이 필요한 수요자들로서는 관망세를 유지할 수밖에 없는 형국이다.
이러다 보니 광주지역에서도 공사는 진행 중이지만 입주자 모집에 나서지 않은 사례도 상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분양 단계인 '입주자 모집'의 경우 선분양이 일반적인데 공사비용 자체를 대출 등을 통해 충당해야 하므로 사업자로선 모든 공사가 마무리된 이후인 후분양을 거의 선호하지 않는다.
그러나 최근 청약시장도 침체를 겪으면서 입주자 모집이 '완판'이 아닌 '미분양'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업계에서는 '공사는 하되 입주자 모집 시기는 조율하는' 분위기다.
조합원이 없는 100% 일반분양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는 호남대 쌍촌캠퍼스 자이 아파트(903세대·2025년 3월 입주 예정)도 당초 후분양으로 공사가 진행돼 왔지만 최근 선분양 쪽으로 선회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내년 3월 분양 전망이 나오고 있지만 아직까진 정확한 일정은 나오지 않고 있다.
600세대 규모 이상인 아파트 사업계획을 승인하는 광주시에서 절차를 진행 중인 아파트는 3곳 정도다.
아파트 분양을 위해서는 사업계획 승인, 착공신고 등을 거쳐야만 입주자 모집을 할 수 있기에 사업계획 승인은 분양을 위한 첫 단계다.
현재 사업계획 승인 절차를 밟고 있는 아파트는 에너지 밸리 중흥S클래스(1천32세대)와 민간공원 특례사업으로 추진돼 온 마륵공원(996세대), 운암산공원(734세대) 등 3곳이다.
그러나 이들 아파트 역시 계획 승인 이후 언제쯤 분양에 나설지는 미지수라는 점에서 현재까지 내년 아파트 청약시장은 '개점 휴업'이나 다름없다.
내년도 분양 물량은 2025년 하반기 또는 2026년 입주 물량으로 봐야 한다는 점에서 2025년(1천840대)에 이어 2026년 역시 새 아파트 품귀 현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한 주택건설업계 관계자는 "금리 인상 여파가 수요자뿐만 아니라 건설 쪽에도 그대로 영향을 미치면서 대부분 관망하는 분위기가 강하다"며 "금리 인상이 마무리되는 시점까지는 새로운 사업을 추진하기는 어려울 듯 하다. 내년 하반기면 어느 정도 상황이 괜찮아지지 않을까 추정만 할 뿐"이라고 말했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광주 ‘대단지 신축·개발 호재’ 인근 아파트 관심 광주 시민들은 가격이 상대적으로 안정된 대단지 신축이나 미래 투자 가치가 높은 아파트 단지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전남 부동산 전문 플랫폼 사랑방부동산(home.sarangbang.com)이 2022년 한 해 동안 광주시내 아파트 검색․조회수 등을 분석한 결과, 대단지 새 아파트나 입주 2년차를 맞아 전세물량이 많은 단지, 2천가구 이상 랜드마크 아파트 등에 대한 관심이 두드러졌다. 사랑방은 매년 부동산사이트 방문자들이 아파트 단지 정보와 매물을 조회한 횟수 등을 취합, 분석하고 있다. 시민들의 선호․관심 아파트 등을 파악해 변화하는 시장 흐름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지난 한 해 방문객들이 가장 많이 찾은 아파트는 북구 중흥동 ‘제일풍경채센트럴파크 1단지’로 나타났다. 전용면적 59~107㎡ 1천70가구 규모의 대단지로 지난해 2월 재개발 대단지 중 가장 먼저 입주하며 많은 관심을 끈 것으로 분석됐다. 2위는 동구 계림동 ‘계림IPARK SK뷰’가 이름을 올렸다. 지난해 7월 입주했으며 HDC현대산업개발과 SK애코플랜트 2개 시공사가 합작한 아파트다. 화정아이파크 붕괴 사건의 여파로 건설 현장이 중단되면서 입주자를 비롯한 시장의 관심이 높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동구에서 세대수가 가장 많았던 계림동 ‘그랜드센트럴(2천336세대)’이 3위를 차지했다. 업계에선 지난해 입주 2년차를 맞아 비과세 매물이 증가해 관련 문의가 많았던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어 동구 학동 ‘무등산 아이파크(1천410세대)’, 서구 화정동 ‘광주유니버시아드 힐스테이트 3단지(2천185세대)’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한편 자치구별 관심 단지를 보면 주변 개발 호재 이슈로 미래 투자 가치가 높은 아파트를 찾는 경우가 많았다. 동구 산수동 ‘무등산명지로드힐’과 북구 유동 ‘금남로대광로제비앙’이 대표적이다. 각각 프리미엄이 저렴하고, 인근 임․유동, 누문 재개발을 비롯한 구도심 재개발 중심지에 위치해 있어 관심이 많았던 것으로 분석된다.사랑방 관계자는 “지난해엔 대규모 신축 단지와 랜드마크 아파트 등을 중심으로 수요가 많았다”며 “아파트 주간 방문자 분석 등을 통해 광주시민들이 부동산 시장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방문자 순위는 사랑방 부동산 맵플러스에서 단지를 클릭하면 볼 수 있다. 박지현기자 5973sally@srb.co.kr·정수연기자 suy@srb.co.kr
- · 1월 넷째주, 광주를 달군 부동산 이슈는?
- · 아파트값 4주 연속 낙폭 축소...전국 -0.42% 서울 -0.31%
- · 지난해 땅값 2.73% 상승···토지거래량은 33% 감소
- · 한은 "집값 하락으로 올해 소비 회복 예상치 밑돌 듯"
- 1[위클리]"100만원이 2배로" 내일부터 광주청년 610명 모..
- 2광주시, 전방·일신방직 부지 국제설계공모 착수..
- 3요즘 물가에 귀한 광주 '7천원 밥집' 3곳..
- 41가구 2주택 '양도세 제외'···전남 솔라시도 주택분양 '청신..
- 5"정용진 주식매각으로 피해" 광주신세계 소액주주 반발..
- 6특례보금자리론 접수 스타트···수천명 접속 '대기줄'도..
- 7"월급 1000만원 이상 광주 사립유치원장···친·인척 고용도 ..
- 8은행 9시 문 열자...많아진 고령층 고객들 ..
- 9[빌라의 눈물]③앞으로가 더 문제···역전세난에 보증금 불안 계..
- 10긴급생계비대출 최대 100만원···자영업 가계대출도 저금리로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