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北 "남한에서 전쟁위기 고조시키는 尹 심판 투쟁, 갈수록 확대"뉴시스
- 부산기초학력지원센터, 학습 지원 본격 시작뉴시스
- 허웅 "父 허재, 집에 대해 아예 관심이 없는 분" 뉴시스
- 美공화당 대권 후보 속속 등장···이번주만 3명 예고뉴시스
- 日기시다, 저출산 재원안 미룬 배경은···여론반발·중의원해산 의식?뉴시스
- '김용건 며느리' 황보라, 시어머니에 감동 "설거지도 못하게 해"뉴시스
- 대만 진먼다오-中샤먼 잇는 다리···'경협 기회'인가, '트로이 목마'인가? 뉴시스
- 대체로 맑은 충북, 낮 최고 28도···미세먼지 '보통'뉴시스
- 의정부 을지대병원 중환자실 확대, 의료진도 대폭 확충뉴시스
- 美 기업들 "사무실로 돌아와라"···직원들은 '반발'뉴시스

[서울=뉴시스] 류현주 기자 = 세월호 참사 보고 시점에 관한 국회 답변서 조작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김기춘 전 청와대 대통령비서실장이 무죄를 확정 받았다.
서울고법 형사1-2부(부장판사 엄상필·심담·이승련)는 16일 허위공문서 작성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김 전 실장의 파기환송심 선고기일에서 "이 사건은 새로운 증거가 제출되는 등의 증거관계 변동이 생기지 않아 (대법원의 무죄 취지) 환송 판단을 그대로 따를 수 밖에 없다"며 "앞서 인용한 대법원 판결 이유와 전적으로 동일한 이유로 원심판결 중 피고인에 대한 유죄 부분을 파기한다"고 밝히며 무죄를 선고했다.
김 전 실장 등은 2014년 7월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세월호 참사 보고와 관련, 국회 서면 질의답변서에 허위 내용의 공문서 3건을 작성해 제출하는 방식으로 세월호 보고 시점 등을 조작한 혐의 등을 받았다.
앞서 1·2심 재판부는 김 전 실장이 답변서에 기재한 내용이 허위라고 판단하고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그러나 대법원이 지난 8월 원심을 뒤집고 무죄 취지의 파기환송 판결을 내린 바 있다.
김 전 실장은 이날 법원 앞에서 "대법원 재판부와 파기환송심 재판부에서 오로지 헌법과 법률, 그리고 양심에 따라 용기 있게 판단해 준 것에 경의를 표하며 감사하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ryuhj@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르포] '아홉 번째 봄'···팽목·목포신항 추모행렬 줄이어 지난 12일 오후 목포시 달동 목포신항.세월호 참사 9주기를 맞아 거치된 선체를 보러 온 추모객들의 모습. 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벌써 9년이 흘렀네요. 시간이 지날수록 잊혀 가는 게 안타까울 뿐입니다."세월호 참사 9주기가 다가오면서 그날의 참사 상흔이 고스란히 남은 팽목항과 목포신항을 찾는 추모행렬이 줄을 이었다.13일 오전 진도군 임회면 팽목항(진도항).참사의 아픔을 상징하는 빨간 등대에는 이른 아침부터 추모객의 발길이 이어졌다.팽목항 대합실에서 등대까지 걸어가는 길 곳곳에는 세월호 참사를 상징하는 노란 리본과 깃발이 거센 바람에 나부꼈으며, 펜스에 띄엄띄엄 달린 방울의 구슬픈 소리가 희생자들의 넋을 위로하는 듯 울려 퍼졌다. 지나온 세월을 말해주듯 추모리본은 색이 바랬으며 일부는 찢겨 있기도 했다.지난 12일 오전 진도군 임회면 팽목항(진도항). 참사의 아픔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빨간 등대 앞에 걸린 노란 리본이 바람에 날리고 있다. 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노란 리본 추모 조형물 앞에 가지런히 놓인 축구화에서도 참사의 아픔이 전해지는 듯 추모객들이 눈시울을 붉혔다.추모객들은 참사 위치를 알리는 안내판 앞에서 사고 지점을 손가락으로 가리키거나 숙연한 눈빛으로 바라봤다.또 추모객들은 참사 1주기에 맞춰 제작된 '세월호 기억의 벽'을 가득 채운 4천656장의 타일을 하나하나 살피며 그날의 아픔을 되새겼으며 '세월호 추모 벤치'에 새겨진 희생자 304명의 이름 앞에서 묵념하며 희생자들의 넋을 위로했다.등대 앞 펜스에 걸린 리본이 바람에 풀려 떨어지자 재빨리 주워 다시 달아주는 모습도 눈에 띄었다.순천시민 남선옥(61·여)씨는 "남편과 함께 진도까지 온 김에 팽목항을 찾았다. 지금 생각해도 너무 슬프다"며 "참사가 되풀이되는 데 책임자 처벌이나 진상규명, 재발 방지를 위한 노력은 항상 반짝하고 그치고 있다. 처음보다 잊히고 있는 게 안타깝다"고 했다.인근에 있는 팽목기억공간에도 추모객들의 모습이 보였다. 팽목기억관 입구 앞에 거꾸로 뒤집힌 철재 세월호 조형물과 컨테이너 건물 내부 곳곳에 수없이 달린 노란 리본, 희생자들의 사진과 이름, 단상에 놓인 과자들이 추모객들의 눈시울을 붉히고 있었다.희생자들의 못다 이룬 삶이 간략하게 쓰인 12권의 '416 단원고 약전'이 비치된 약전 책방에서 선 채로 한동안 책을 읽다가 눈물을 훔치는 추모객도 보였다.지난 12일 오전 진도군 임회면 팽목항(진도항). 세월호 참사 9주기를 맞아 이른 아침부터 추모객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자리를 지키던 유가족들은 먼 길을 찾아온 추모객들에게 "차 한잔 마시고 가라"며 고마움을 전하기도 했다.이곳에서 만난 고 권지혜(단원고 2학년 희생자)양의 모친 이정숙(58)씨는 "이곳은 주검으로 수습된 희생자들이 바닷속에서 처음 뭍으로 올라온 상징적인 곳이다"며 "참사는 잊는 순간 반복된다. 작게나마 기억공간을 보존해줬으면 하는 바람이다"고 바람을 전했다.같은 날 오후 세월호 선체가 거치된 목포시 달동 목포신항에서도 추모행렬이 이따금 이어졌다.추모객들은 입구에 설치된 세월호를 본떠 만든 아크릴 조형물 속 미수습자 5명의 사진을 보며 고개 숙여 묵념한 뒤 선체 쪽으로 이동해 먼발치에서 '세월(SEWOL)'이라는 글자만 남기고 녹이 슨 세월호를 바라보며 참사의 아픔을 공감했다.아들과 함께 전주에서 왔다는 조문경(58·여)씨는 "둘째 아들이 희생된 학생들과 비슷한 나이다. 실물로는 처음 보는 데 이렇게 큰 배가 어떻게 뒤집혔을지 상상도 안 된다"며 "벌써 9주기라니 시간이 너무 빠른 것 같아 안쓰럽다. 앞으로도 잊지 않고 계속 찾아오려고 한다"고 말했다.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목포=박만성기자
- · "잊지 않겠다"···싸늘한 시선에도 변함없는 외침
- · 304명 희생 참사···세월호 침몰 원인 '아직도 깜깜'
- · 9년 전 멈춘 기억 시계···피붙이 찾는 애끓는 탄식에 '침묵'
- 1이이경·이미주, 열애설 종지부 찍는다 ..
- 2"나 모르게 국제전화, 문자 발송?"···어떻게 된 일일까..
- 3'뱀 물림 사고' 임강성, 병원서 근황···"많이 좋아지고 있어..
- 4백지연 전 앵커, 현대家 사돈···子 결혼식에 박성웅·신애라 참..
- 5혜림 "원더걸스 시절 똥배 사진?···너무 창피해"..
- 6'탈원전 폐기' 한국, 원전 운전 세계 5위···빅3는 '美佛中..
- 7이서진, 김정은과 결별아픔 고백?···"내 인생 제일 큰 위기였..
- 8'성전환' 엘리엇 페이지 "유명 男배우가 성관계 협박"..
- 9한예슬 "너무 오랜만이죠"···그리스 여행 중?..
- 10엄정화, 핑클과의 추억 공개···이효리 "나이트 데려가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