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英 재무장관, 최저임금 인상·공무원 채용 동결 발표···"올해 감세는 보기 어렵다"뉴시스
- 러, 우크라 남부 헤르손에 집중 포격···경찰관 사망·10대 자매 부상뉴시스
- 트럼프, 뉴욕 금융사기 민사재판 출석···"역대급 마녀사냥"뉴시스
- 테슬라 3분기 판매 43만여대로 둔화···"공장 개선 위한 가동중단 때문"뉴시스
- <고침> 김종규·하윤기 "中 어차피 만날 상대, 죽기 살기로"뉴시스
- 나주서 아파트 화재···1명 숨진 채 발견뉴시스
- 임영웅 "'배신자', 돌아가신 父가 좋아하신 곡"···서장훈 눈물 펑펑뉴시스
- 김나영 "아들 발에 부딪혀 발가락 골절···불난듯 아파"뉴시스
- <고침> 탁구에서 金 1개 추가한 한국, 종합 3위···야구는 대만에 충격패(종합)뉴시스
- 홍여진 "유방 내 7㎝ 암 덩어리···방사선 치료 28번 받아"뉴시스

[광주=뉴시스] 신대희 기자 = 광주·전남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증감을 반복하며 겨울철 재유행 국면이 이어지고 있다.
3일 방역 당국에 따르면, 지난 2일 발생한 코로나19 확진자는 광주 1776명·전남 1614명으로 총 3390명이다.
광주·전남 확진자 추이는 지난달 22일 4049명, 23일 3364명, 24일 3139명, 25일 3048명, 26일 2793명, 27일 1415명, 28일 3866명, 29일 4085명, 30일 3402명, 이달 1일 3274명이다.
전날 기준 광주 확진자 중 2명이 숨져 누적 사망자는 737명이다. 위중증 환자 6명, 입원 환자 5명, 재택 치료자는 1325명으로 집계됐다.
전남 확진자도 1명이 숨져 누적 사망자는 778명이다. 위중증 환자는 13명이다.
광주·전남 주요 감염 경로는 일상 접촉과 요양병원·시설로 조사됐다.
환자 1명이 주변 사람 몇 명을 감염시켰는지 나타내는 감염재생산지수는 광주 1.05명, 전남 1.04명을 기록했다.
광주 감염재생산지수는 지난 10월 셋째주부터 7주 연속 1.0 이상을 보였다. 지난달 재감염 비율도 12.3%(8월 7.6, 9월 9.9, 10월 9.7)로 증가세다.
방역 당국은 이번 7차 유행이 정점에 도달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고 백신 추가 접종과 개인 방역 강화를 권유하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sdhdream@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1주일 1만명 돌파···광주 코로나 급증세에 관계 당국 '긴장' 25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7월 3주차(7월18일~24일) 주간 일 평균 확진자는 3만8천809명으로 직전 주 일 평균 2만7천955명과 비교해 38.8% 증가했다. 당국은 국내외 유행과 방역 상황을 고려해 코로나19 감염병 등급 하향 조정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뉴시스 광주 코로나19 주간 확진자가 1만명을 넘어서며 확산세가 심상찮다. 특히 본격적인 휴가철을 맞아 증가세가 더욱 가팔라질 수 있어 관계 당국이 예의주시하고 있다.26일 광주시에 따르면 최근 1주일(19~25일) 동안 코로나19 확진자는 1만348명으로 지난주(7천412명) 대비 39.6% 늘었다.주간 확진자 1만명이 넘어선 것은 지난 1월 이후 6개월 만이다.일평균 확진자도 며칠 사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지난 19일 1천521명이던 확진자는 20일 1천396명, 21일 1천600명, 22일 1천605명, 23일 614명, 24일 1천419명으로 주말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1천명대 중반을 유지하다가 25일 2천193명으로 폭증했다. 2천명대 진입은 지난 1월4일 2천282명 이후 6개월 만이다.확진자 1명의 감염 전파력을 나타내는 감염재생산지수는 1.16명으로 1명 이상이 지속되고 있다. 다만 중환자 전담 치료 병상 가동률은 63.6%, 주간 치명률은 0.01%로 아직 안정적인 상황이다.전남 또한 마찬가지로 증가세다.지난주까지 1천명대 중반을 유지하던 전남도는 지난 24일 2천137명, 25일 2천451명으로 2천명대로 올라섰다. 그러면서 주간 확진자는 1만2천650명이다.전국적으로도 확진자가 증가하고 있는데, 지난 2~6월 하루 1만~2만명대였던 코로나 국내 신규 확진자 수가 이달 들어 연일 3만명을 오르내리고 있다.이 같은 확산세는 본격 휴가철을 맞아 이동량이 증가하면서 밀접접촉 빈도 또한 높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또 코로나19에 감염되더라도 격리가 의무가 아닌 권고사항으로 바뀌면서 전파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내달 초부터 코로나19 방역 조치가 추가 완화될 전망인데다 본격적인 휴가 성수기에 접어들 예정이어서 감염 확산세를 당분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마스크 착용 의무를 모든 실내에서 해제하고 확진자 수 집계를 중단하는 위기단계 조정 로드맵 2단계 진입을 추진하고 있다.이에 더해 계절성 독감도 유행하고 있어 관계당국이 긴장하고 있다. 통상 계절성 독감은 겨울철에 정점을 찍고 이후 하락하는 특성을 보이지만, 올 여름까지도 독감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광주시 관계자는 "마스크 착용과 격리 의무 해제, 휴가철 밀접 접촉 등으로 당분간 증가 추세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며 "손 씻기와 기침 예절, 주기적 환기 등 일상생활 속 예방수칙을 적극 준수해달라"고 말했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1이은형 "♥강재준 20㎏ 감량 후 부부관계 타올라···2세 계획..
- 2요즘 이 카드가 대세라던데?···인기 카드는 무엇 ..
- 3광주서 승용차 역주행 교통사고···7명 부상 (종합)..
- 4함평 저수지서 30대 숨진채 발견···이틀전 실종신고..
- 5유튜버 억달이형, 오늘 사망···향년 38세..
- 6세종시 아파트, 1~8월 매매값 10.4%↑···충청권 유일 전..
- 7한영·박군, 대충돌 살얼음판···"내 집서 나가" "여기가 내 ..
- 8이세영, 6년 사귄 日남친 결별 후 근황···공원서 피크닉..
- 9'이틀 전 실종 신고' 함평 저수지서 30대 ..
- 10"정율성 흉상 내가 철거"···광주 남구, 수사의뢰(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