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올해 대학 입시 수학에 좌우 된다···만점자 3명

입력 2022.12.08. 17:09 수정 2022.12.08. 17:32 댓글 0개
국·수 1·2등급컷 표준점수 하락…상위권 쉬워
수능 성적표. 뉴시스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채점 결과 역대급 '불수능'으로 불렸던 지난해 보다 쉬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은 국어와 최고 표준점수가 11점 넘게 벌어져 수학 점수가 대학입시에 당락을 가를 것으로 예상된다.

또 전과목 만점자는 재학생 2명, 재수생 1명 등 총 3명이었으며 모두 과학탐구 영역을 응시한 자연계열 지망자였다. 특히 선택과목 표준점수 격차가 나오게 되면 이과생들의 문과 교차지원이 이번 대입 정시에서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

수능 시행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은 8일 오전 2023학년도 수능 채점 결과를 발표했다. 수험생들은 이튿날인 오는 9일부터 성적 통지표를 받게 된다.

올 수능에 응시해 성적표를 받는 수험생은 44만7천669명이다. 재학생은 30만8천284명, 졸업생과 검정고시 합격자 등은 13만9천385명(31.1%)로 현 점수체제 도입(2005학년도) 이후 재수생 비중이 가장 컸다.

국어는 지난해와 비교해 쉬웠던 평이한 시험이었다.

국어 영역은 1등급 구분 표준점수가 지난해보다 5점 줄어 126점, 최고 표준점수는 15점 떨어진 134점이다. 표준점수가 낮아지면 체감 난도가 쉬웠다는 뜻이다.

1등급을 획득한 응시자는 4.45%인 1만9천858명으로 지난해 1만7천914명(4.01%)보다 늘어났다.

수학은 국어보다는 표준점수 감소 폭이 적어 전반적으로는 지난해만큼 어렵거나 약간 쉬웠다. 하지만 만점자가 35% 수준으로 급감해 변별력은 갖췄다는 평가다.

수학 영역은 1등급 구분 표준점수 133점, 최고 표준점수 145점으로 지난해보다 각각 4점, 2점 하락했다.

1등급 표준점수 구간은 145~133점으로 12점차가 발생, 지난해 147~137점의 10점차보다 2점 늘었다.

1등급을 획득한 응시자는 5.26%인 2만2천571명이었다. 지난해 1만8천31명(4.20%)보다 인원·비율 모두 올랐다.

입시계의 한 관계자는 "오는 9일 성적표가 나오고 영역 내 선택과목에 따른 표준점수 격차의 윤곽이 나오게 되면 이과생의 문과 교차지원이 이번 대입 정시에서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정민기자 ljm7da@mdilbo.com·뉴시스

# 관련키워드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