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타다, 불법 콜택시 영업 혐의 '무죄' 최종 확정뉴시스
- [속보] 정정순 前민주당 의원, '공직선거법 위반' 징역 2년 확정뉴시스
- [속보] 대법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안 공개 안돼" 확정뉴시스
- [속보] 권익위 "선관위 채용비리 조사, 김세환 등 무혐의 나도 제외 안해"뉴시스
- [속보] 권익위 "선관위, 독립성 이유로 채용 전수조사 거부해선 안돼"뉴시스
- [속보] 권익위 "선관위 채용비리 조사, 퇴직 공무원도 대상"뉴시스
- [속보] 권익위 "선관위 채용비리 '전담조사단' 구성해 전수조사할 것"뉴시스
- [속보] 美 하원, '부채한도 유예' 법안 가결뉴시스
- [속보] 코로나 신규 확진 2만4604명···위중증 166명·사망 20명뉴시스
- [속보] 15개월 연속 무역적자···車 증가세에도 반도체 36.2%↓뉴시스
기사내용 요약
통합형 수능 2회차…국어·수학 공통+선택과목
"국어 언어와매체, 화법과작문 대비 4점 높아"
수학 지난해와 일치, 국어 격차 2점 더 벌어져

[서울=뉴시스]김경록 김정현 기자 = 두 번째 '통합형 수능'인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수학 '미적분'을 선택한 만점자의 표준점수가 다른 과목을 선택한 만점자보다 3점 더 높았다는 입시 학원 분석이 나왔다.
종로학원은 9일 2023학년도 수능 수학 영역 '기하', '확률과 통계' 선택 응시자의 최고 표준점수가 각각 142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미적분'(145점)과의 차이는 3점이다.
대학 이공계열 지망자들은 주로 '미적분' 또는 '기하'를 택해 응시한다. 원점수가 같더라도 '확률과 통계'보다 최고 표준점수가 높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대입에서는 원점수가 아닌 표준점수가 활용된다. 출제 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선택과목별 표준점수를 공개하지 않지만, 입시업계를 통해 선택과목별 유불리가 드러나고 있는 상황이다.
국어 선택과목 간 격차는 수학보다 큰 4점차로 나타났다. 종로학원은 '언어와 매체' 표준점수 만점은 134점인 반면, '화법과 작문'은 이보다 4점 낮은 130점에 그쳤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격차는 지난해 2점차에서 올해 더 벌어졌다.
현행 수능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한 문·이과 통합형이지만, 이과생들은 국어 '언어와 매체'와 수학 '미적분'을, 문과생은 국어 '화법과 작문'과 수학 '확률과 통계'를 많이 선택한다. 상위권일수록 이 경향이 짙다. 올해 과학탐구 응시자 중 '언어와 매체' 선택자는 지난해 수능보다 1만9577명(8.6%) 늘었다.
이는 곧 이번 수능에서 '언어와 매체'와 '미적분'에 응시한 이과생이 문과생보다 표준점수 획득에 유리하다는 얘기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국어에서는 '언어와 매체', 수학에서는 미적분에서 모두 표준점수 최고점이 앞서는 상황"이라며 "통합수능 2년차에서 수학에서 이과생이 유리한 구조는 그대로 재현되고 있고, 더 나아가 국어에서조차도 '언어와 매체'를 상대적으로 많이 응시하는 이과생들이 우세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임 대표는 "올해 이과에서 문과 교차지원은 수학뿐만 아니라 국어도 상당히 이과 학생들에게 유리한 구도가 형성돼 있다"며 "선택과목간 점수차는 사실상 구조적 문제"라고 지적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nockrok@newsis.com, ddobagi@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1광주 동구 모 아파트서 개 짖는 소리 시끄러워···"견주가 손해..
- 2고속도로서 급정거해 추돌 사망사고 낸 50대 입건 ..
- 3"전남에도 트램 도입한다"···목포~하당~남악~오룡 15.7㎞..
- 4앞으로 집값, 중개사의 전망은..."하락" 25% vs "상승"..
- 515% 이자내다 5%로 15분만에 대출 환승…어떻게?..
- 6"10억짜리 새 타운하우스인데...난간 흔들리고 하자투성이"..
- 7"곡성장미축제 대박났다" 입점 식당 열흘간 2억2천만원 수익..
- 8최대 5000만원 마련 '청년도약계좌' 금리 다음주 윤곽..
- 9광주도시공사, 6월 1일부터 임대주택 원스톱 상담서비스..
- 10외국인 보유 토지···전남, 전국서 두번째로 많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