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수시→정시' 올해 이월 규모는?···학원가 "작년수준 유지"

입력 2022.12.13. 08:00 댓글 0개

기사내용 요약

"지난해 수시 서울 1800명 등 3만6270명 미등록"

주요 대학 수시 모집인원 감소, 수능 결시율 줄어

"정시 이과 경쟁률 상승…인문계는 교차지원 고려"

[청주=뉴시스] 조성현 기자 =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성적표 배부일인 9일 오전 충북 청주 세광고등학교에서 3학년 학생들이 성적을 확인하고 있다. 2022.12.09. jsh0128@newsis.com

[세종=뉴시스]김정현 기자 = 오는 15일까지 대학들이 수시 합격자를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추가합격과 정시로의 이월 인원 규모에 대해서도 관심이다.

입시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서울 지역 주요 대학들을 기준으로 예년 수준을 유지하겠다는 전망이 나온다.

13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지난해 수시 이월인원은 대학 소재지별로 서울권 1800명, 인천·경기 등 수도권 1933명, 비수도권 3만2537명으로 총 3만6270명이었다.

수시 이월인원(미등록) 총 규모는 2020학년도 2만9250명에서 2021학년도 4만1382명으로 1만2132명(41.5%) 늘었지만, 지난해 3만6270명으로 다시 하락세를 보였다.

당시 학령인구 수 감소 속 타 대학들과 정시 모집에서의 경쟁을 우려한 대학들이 경쟁적으로 신입생을 추가 모집하면서 이월 인원이 감소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서울 주요 대학을 지망하는 수험생들에게는 정시 확대 기조로 수시 선발 규모가 감소세라는 점도 변수다.

올해 모집 예정 인원은 전형별로 서울권이 수시 4만6287명(60.4%), 정시 3만376명(39.6%)을 보였다. 최근 4년 간 서울 지역 수시 모집인원 규모는 5만1693명→5만1542명→4만7556명→4만6287명으로 감소세다.

[세종=뉴시스] 종로학원이 분석한 지난 3년간 대학 입시에서 수시전형 미등록 인원. 대학들은 수시 전형에서 뽑지 못한 만큼의 인원을 정시 모집으로 이월해 선발한다. (자료=종로학원 제공). 2022. 12.13.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수시 이월인원 규모에서 빼놓을 수 없는 변수가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결시율이다.

수시 전형의 지원 자격 조건인 수시 최저학력기준은 수능 '2개 영역 합 4등급 이내'와 같은 식으로 등급을 보기 때문에 결시율이 높아지면 경쟁자가 줄어든다.

올해 수능의 최종 결시율은 11.9%였다. 50만8030명이 원서를 접수했으나 6만361명이 필수 영역인 한국사를 치르지 않았다. 지난해는 6만1683명(12.1%)이 시험을 보지 않아 결시율은 0.2%포인트 내려갔다.

반면 같은 맥락에서 이번 입시에서 수시 최저학력기준을 완화하거나 아예 없앤 대학의 경우 미등록 인원이 예년보다 크게 줄어들 수 있다. 올 입시에서는 수시 학생부교과전형 기준 고려대(학교추천)와 성균관대(학교장추천) 등이 해당한다.

수능 성적을 위주로 평가하는 정시에서 주요 대학을 지원하는 상위권 이상 수험생에게는 경쟁률이 예년보다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국어가 지난해보다 쉬워 평이한 반면 수학은 만점자의 표준점수(145점)가 1등급컷(133점)와 12점 벌어져 있어 자연계열에서 보다 치열해질 전망이다.

대학 간판을 높이려는 수학 '미적분' 또는 '기하', 과학탐구 영역 응시 수험생(이른바 자연계열 지망자)들이 인문계열 학과로의 교차지원을 고려하려는 압박이 커지는 연쇄 효과가 일어날 가능성도 높아졌다.

[서울=뉴시스] 조수정 기자 = 지난 1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성균관대학교에서 열린 종로학원 2023 정시 전략 설명회에서 수험생과 학부모들이 대학 입학 정시모집 배치 참고표를 살펴보고 있다. 2022.12.12. chocrystal@newsis.com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수시 모집 규모 자체가 줄었기 때문에 추가합격 인원도 줄고 (정시로의) 수시 미등록 이월 인원도 감소할 것"이라며 "서울 주요 대학 정시에서는 이과 수험생이 점수에서 유리하더라도 상향 지원하는 것이 부담스러운 환경"이라고 말했다.

이어 "자연계 수험생이 (자신의 실력보다) 상향 지원한다면 인문계로의 교차지원을 검토할 수밖에 없다"며 "인문계 지망 수험생은 수학 성적에 가중치를 두는 모집단위에서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통상 각 대학들은 수시 미등록 인원이 반영된 최종 정시 모집 선발 인원을 정시 원서 접수 직전에 발표한다. 올해 정시모집 원서 접수는 오는 29일부터다.

◎공감언론 뉴시스 ddobagi@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
키워드뉴스
재밌수다 전기차 구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4시간전 ㅔ... ..에.... 뭐... ......... 에.... 집밥 있으면... ㅔ... 사십쇼..
4시간전 돈 없어서 못사지ㅇㅇ
4시간전 전용면허증발급필요 전기차 급발진 사고가 많이 난다고 뉴스에서 맨날 떠드는데 전기차사고 운전자 연령대 정리해서 발표는 안하더라? 충분히 정리해서 기사 낼 수 있을텐데 왜 안할까? 싶음. 일단 전기차 급발진 주장 기사보면 대게 60대 이상 고령자임. 그리고 이들 대다수가 무사고 경력도 상당함. 근데 왜 잦은 사고가 발생할까? 이건 전기차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임. 전기차는 내연기관이랑 다름 전기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회생제동 시스템이 들어있는데 엑셀을 밟으면 가속이 되고 엑셀을 놓으면 마치 브레이크 밟은 것 처럼 속도가 줄어듦(감속이 큼). (초창기 전기차가 택시로 보급 되었을때 전기차로 운전하는 택시기사님 차타면 꿀렁꿀렁 멀미하는 느낌을 다들 받아 봤을꺼임. 이게 회생제동 때문임) 즉, 전기차는 이 회생제동 때문에 운전이 숙달되면 원페달 드라이빙이(엑셀만으로 가속 감속하면서 운전) 가능함 . 근데 고령자들은 신체 감각이 젊은 사람들에 비해 떨어질 수 밖에 없고 회생제동 때문에 엑셀과 브레이크를 헷갈릴수가 있음. 그래서 엑셀을 놓는데 마치 브레이크 밟았었다고 착각할 수 있음.(밟았다 놨는데 속도가 크게 줄어드니까) 이 때문에 갑작스러운 돌발상황이 발생하면 속도를 줄인다면서 엑셀을 밟을 수도 있다는 거임. 따라서 충분한 이론과 실기 교육이 필요함 또 이를 인증하는 면허증 제도가 필요하다고 봄. 그외에 할말은 더 많지만 전기충전만 놓고 보더라도 각 지역별 전기 충전소 혜택카드도 다르고 복잡함. 전기차 제도 및 인프라 등이 많이 다듬어져야 한다고 봐서 구매는 시기상조라 봄.
2시간전 최근 택시를 탔을 때 자꾸 엑셀을 밟고떼고 하시며 꿀렁대길래 뭔가 싶었는데 딱 이건가보네요. 마침 고령 기사님이시기도 했거든요.
9분전 김광주 최고의 선택!
재밌수다 참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