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꼬마빌딩도 위기]③"현금 있어도 안 사"···강남도 쉽지 않네

입력 2023.01.16. 06:00 댓글 0개

기사내용 요약

강남3구 거래량, '21년 833건→작년 476건

금리인상에 월세보다 이자 더 나오기도

입지 좋은 매물은 안나와...옥석가리기 양상

"몇 년 간 많이 올라…향후 매물 더 나올 것"

[서울=뉴시스] 이예슬 기자 = "3~4년 전 저금리일 때 꼬마빌딩을 많이들 매수했는데, 이때 산 사람들이 최근 매물을 내놓는 경우가 적지 않아요. 가격이 그때보다 많이 오르긴 했는데 최근 시세보다 10% 할인을 해서 내놔도 금리가 높으니 거래는 잘 안 되고 있어요." (서울 강남구 A공인 대표)

저금리 기조에 임대수익 창출과 시세차익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어 주목받았던 꼬마빌딩 투자가 시들해졌다. 비교적 안전한 투자처로 평가받는 강남지역도 예외가 아니라는 게 일선 현장의 목소리다.

16일 토지·건물 정보 서비스업체 밸류맵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강남3구(서초·강남·송파구)의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는 476건으로 2021년 833건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2015년 652건, 2016년 742건, 2017년 717건, 2018년 552건, 2019년 622건, 2020년 776건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최근 8년간 거래량이 가장 적었다.

건물은 주택에 비해 대출규제가 적어 금융 레버리지를 통해 매입하는 경우가 상당수다. 수년 간 저금리 기조가 유지되면서 자금 조달이 용이해지자 꼬마빌딩 거래가 늘어나는 추세였다. 기준금리는 2015년 3월 1.75%로 1%대로 내려앉은 이후 소폭의 등락은 있었지만 1%대를 유지하다가 코로나19로 제로금리 시대를 맞았다. 이처럼 돈 빌리기가 용이한 환경에서 '부동산 불패' 풍조는 확산하면서 노후대비용 꼬마빌딩 투자에 관심이 쏠렸다.

그러다 지난해 7월 한국은행이 금리를 1.75%에서 2.25%로 0.50%포인트(p) 한꺼번에 올려 '빅스텝'을 단행하면서 상황은 반전됐다. 지난 13일에도 0.25%가 또 올라 현재 금리는 3.5% 수준이다.

A공인 대표는 "한 때 재력가들이 압구정 아파트 한 채 팔아서 꼬마빌딩을 사는 투자를 많이 했었다"며 "그런데 꼬마빌딩 시장은 금리 영향을 많이 받다 보니 월세가 이자보다 낮아서 자기 돈을 더 넣어야 하는 상황이 됐다. 버틸 수 있는 사람은 버티겠지만 장기적으로 매물은 더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가격은 매입 시기보다 많이 올랐다. 그는 "시세보다 할인해서 내놓기는 하지만 50~60억원에 샀다면 70~80억원에 내놓는 식"이라며 "현재는 현금이 있는 사람들도 빌딩 시장에 안 달려드는데, 미국 기준금리가 내리거나 우리 금리가 동결돼 더 이상 오르지 않는다는 심리가 팽배해야 투자 타이밍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전문가들도 꼬마빌딩의 몸값이 크게 올랐다고 말한다. 상권 분석을 철저히 해 예상치 못한 악재에도 건재할 곳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조언이다.

고준석 제이에듀투자자문 대표는 "꼬마빌딩 가격이 최근 몇 년간 워낙 많이 올랐고, 또 입지가 좋은 매물은 잘 안 나온다"며 "코로나 때 대학가 상권은 다 죽었는데 대치동 학원가는 끄덕없었다. 이처럼 소비 인구를 항상 불러들이는 상권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 대표는 "상권의 특징을 보면 역세권, 오피스, 만 세대 이상 아파트가 있는 주택가, 문화가 있는 지역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각 특성이 교집합을 가지는 상권인지 여부를 따져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ashley85@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
재밌수다 출산율 높이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19시간전 4877 가정이 주는 편안함과 포근함을 느끼기 어려워진 사회가 된듯합니다. 젊은 친구들은 혼자 살기도 팍팍하다보니, SNS에서 본인 과시도 늘어가고 남과 비교하며 자존감도 많이 낮아졌나봐요. 꼭 물질적인 충족이 되지 않더라도, 관계에서 얻을 수 있는 신뢰, 정 등이 높은 가치를 갖고 인정 받을 수 있는 분위기가 필요하다고 봐요.
17시간전 남자직원 육아휴직 남자도 육아휴직 눈치 안보고 쓸 수 있으면, 출산율 자동으로 오름 둘중 하나는 애 봐야되는데 엄마 육휴 끝나면 그 이후엔 누가 키움???
16시간전 눈치챙겨 라떼들 시절엔 와이프가 독박육아 버텨주니까 매일 회식에 야근도 때리고 한거지. 요즘은 맞벌이가 기본인데 남직원 육휴 쓴다고 눈치주는 거 아니라 생각함
15시간전 답없음 동거가 주류가되고 육아휴직하면 시스템으로 보호해주는직장이 5%미만인데 누가 애를키우려할까 결혼도 안하는데. 답은 결혼이민밖에없고 시내의 구주택 고쳐서 신혼집으로 주면됨.재개발 이런거하지말고
14시간전 kjg8 구관이 명관이다 70년대 80년대처럼 베이비부머가 생기도록 남자와 여자가 담당하는 일을 명확하게 하도록 사회제도를 바꾸어야 한다 비정규직도 없애고 평생고용직장을 정례화 하는 것이다
재밌수다 참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