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칼럼> 블루문과 슈퍼문이 만날 때

입력 2023.09.21. 17:52 수정 2023.09.21. 19:36 댓글 0개
주종대 건강칼럼 밝은안과21병원 원장


지난 2023년 8월 31일, 이날을 놓치면 14년을 기다려야 다시 볼 수 있다는 '슈퍼 블루문'이 떴다.

보름달이란 달이 태양과 지구의 서로 반대쪽에 위치할 때 지구에서 달의 모습이 밝게 보이는 것을 말한다. 그중에서도 달이 지구와 가장 근접해져서 크고 밝게 보이는 보름달을 슈퍼문이라고 하며, 한 달 중 두 번째 뜨는 보름달을 블루문이라 한다. 슈퍼문과 블루문이 동시에 뜨는 달을 '슈퍼 블루문'이라고 한다.

지구에서 달까지 평균 거리는 38만 3000km인데 이날 뜬 슈퍼 블루문은 지구와 35만 7341km 거리로 매우 가까웠다. 더욱 이번 슈퍼 블루문이 특별했던 이유는 올해 가장 크고 둥근 달로 이번 기회를 놓치면 2037년 1월 31일에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슈퍼 블루문 이야기를 듣고 미국의 작가이자 작곡가인 폴 보스(paul bowles)의 작품 중에서

'마지막 사랑(The Sheltering Sky)'에 나오는 작품의 대사가 강하게 와 닿았다. 그 대사는 나를 집 밖으로 이끌어 냈고 밝게 빛나는 달을 보게 만들었다.

영화 '마지막 사랑'에서 볼 보스는 나지막하게 이 대사를 내뱉는다. '자신이 언제 죽을지를 모르니 우리는 인생을, 마르지 않는 샘이라고 생각하고 만다. 하지만 세상 모든 일은 무한하게 일어나지 않는다. 보름달이 뜨는 것을 보는 일은 앞으로 몇 번이나 더 있을까. 아마 스무 번이려나. …'

적어도 한 달에 한 번 밤하늘에 나타나는 보름달을 우리는 살면서 몇 번이나 볼 수 있을까?

하물며 슈퍼 블루문을 2023년 8월 31일에 못 봤다면 우리는 14년 후에 볼 수 있을 것이다.

인생은 무한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내일이 올지 안 올지 알 수가 없다. 하지만 살다보니 우리 인생이 무한할 것만 같은 착각 속에 빠지게 된다. 그래서 특별했던 슈퍼 블루문에 크게 관심갖지 않는 사람도 있었을 것이다.

2023년 3월 28일에 한 신문의 사회 문화면 기사 한 줄이 떠오른다.

일본이 낳은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류이치 사카토모가 오랜 투병 생활 끝에 생을 마감했다는 이야기였다. 그는 영화 '마지막 황제'에서 주제곡을 발표해 아시아 최초로 미국 아카데미 음악상을 받으면서 음악가로서 명성을 떨쳤다.

별세 이후 출간한 그의 자서전인 '나는 앞으로 몇 번, 보름달을 보게 될까'는 인후암 판정에 이어 직장암을 선고 받은 후 그의 처절하고도 고통스러운 투병기를 적어놓았다. 그는 병마에 굴복하기보다 음악을 통해 자신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노력했다. 또한 이 세상 사람들에게 희망과 기쁨을 전해줄 메시아적인 음악을 좀 더 남기고자 애쓰면서 주어진 삶에 최선을 다했다.

2011년 안나푸르나의 남벽 등정 도중 실종된 박영석 대장은 내가 좋아하는 산악가이다. 그의 이름을 부르는 것만으로도 감동을 주는데 내게는 상징적인 인물이기도 하다. 산을 사랑하며, 끊임없이 도전하고 자신이 좋아하는 일에 모든 것을 내던졌다. 그처럼 오로지 꿈과 열정으로 살아가고 있는지 나에게 되물었다.

삶이 길고 짧음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나는 두 명의 삶을 통해서 새로운 인생의 방향성을 찾았다.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은 한정적이다. 세월을 모두 흘려보내지 말고 지금 이 순간,현재를 집중하면서 최선을 다해 살아야 한다. 오늘은 다시 돌아오지 않고 어쩌면 오늘이 바로 나의 마지막 순간이 될 지도 모른다.

2023년 8월 31일 슈퍼 블루문을 보며 나는 두 손 모아 기도했다. 나는 누구보다도 내 남은 삶을 후회없이 살 수 있도록 말이다. 주종대 밝은안과21 원장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
재밌수다 출산율 높이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19시간전 4877 가정이 주는 편안함과 포근함을 느끼기 어려워진 사회가 된듯합니다. 젊은 친구들은 혼자 살기도 팍팍하다보니, SNS에서 본인 과시도 늘어가고 남과 비교하며 자존감도 많이 낮아졌나봐요. 꼭 물질적인 충족이 되지 않더라도, 관계에서 얻을 수 있는 신뢰, 정 등이 높은 가치를 갖고 인정 받을 수 있는 분위기가 필요하다고 봐요.
17시간전 남자직원 육아휴직 남자도 육아휴직 눈치 안보고 쓸 수 있으면, 출산율 자동으로 오름 둘중 하나는 애 봐야되는데 엄마 육휴 끝나면 그 이후엔 누가 키움???
16시간전 눈치챙겨 라떼들 시절엔 와이프가 독박육아 버텨주니까 매일 회식에 야근도 때리고 한거지. 요즘은 맞벌이가 기본인데 남직원 육휴 쓴다고 눈치주는 거 아니라 생각함
15시간전 답없음 동거가 주류가되고 육아휴직하면 시스템으로 보호해주는직장이 5%미만인데 누가 애를키우려할까 결혼도 안하는데. 답은 결혼이민밖에없고 시내의 구주택 고쳐서 신혼집으로 주면됨.재개발 이런거하지말고
14시간전 kjg8 구관이 명관이다 70년대 80년대처럼 베이비부머가 생기도록 남자와 여자가 담당하는 일을 명확하게 하도록 사회제도를 바꾸어야 한다 비정규직도 없애고 평생고용직장을 정례화 하는 것이다
재밌수다 참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