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 자동차부품공장서 근로자 추락해 사망뉴시스
- 기재위, 결혼공제·가업승계 30일 회의서 최종 논의키로 뉴시스
- 日 야쿠시마 앞바다서 6명 탑승 美 오스프리 CV22기 추락···최소 1명 사망뉴시스
- 김준현·문세윤, '비계 어게인' 결성뉴시스
- 한혜진, 기안84·이시언과 야외 혼탕···"영하 6도, 형제들의 호연지기"뉴시스
- 밴드 밴이지, 오늘 '페르소나' 발매뉴시스
- OECD, "내년 세계경제 2.7% 성장"···2.2% 예상했던 올해는 2.9%뉴시스
- 대전-세종상의, 화학연과 지역 기업 기술력 증진 '기술애로 상담 사전 설명회'뉴시스
- '스걸파2', 최종 42인 라인업 공개뉴시스
- 펜싱 김준호子 은우, 포토콜서 앙증맞은 손하트···'슈돌'뉴시스
한국어 발음하며 "함께 갑시다" 정신 강조
"인도·태평양과 유럽 안보 불가분 관계됐다"

[워싱턴=뉴시스] 이윤희 특파원 =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 한미 동맹 70년을 앞두고 양국의 "상호 방위 약속은 철통 같다"고 재차 강조했다.
블링컨 장관은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국제교류재단(KF)과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주최로 올린 '한미 전략포럼 2023' 기조연설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한미 동맹은 내달 1일 70번째 생일을 맞이한다.
블링컨 장관은 이에 한미 관계가 "핵심적인 안보 동맹에서 극히 중요한 글로벌 파트너십으로 발전했다"며 "한국과의 강화된 관계는 미국이 동맹과의 관계를 심화할 뿐만 아니라 혁신적이고 상호 관계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이끌어 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가장 놀라운 사례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한국어를 직접 발음하며 양국 관계를 "함께 가자는 열정적인 '같이 갑시다' 정신"이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구체적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여러 결의안을 위반하고 한반도 및 세계 안정을 훼손하는 미사일 발사 등 북한의 도발적인 행동들에 직면한 상황"이라면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으로 북한이 세계 안보를 위협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블링컨 장관은 북러 정상회담은 러시아의 절박함을 보여주는 한편, 북한이 미사일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는 의미라고 규정하기도 했다.

이에 맞서는 한미일 3자 동맹을 언급하며 "북한의 미사일 경고 자료 실시간 공유, 한미일 방위 훈련,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 및 탄도미사일 개발에 자금을 대는 사이버 공격에 대한 실질적인 대응방안에 합의했다"며 "이번달 북한의 두 번째 위성발사로 향상된 양국 대북 협력 변화를 보여줄 기회를 가졌다"고 말했다.
블링컨 장관은 한미 협력이 세계 안보 측면에서도 중대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보 협력이 유렵지역과도 긴밀한 연대를 맺게 됐다고 평가했다.
블링컨 장관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기념비적인 전략적 실패가 됐지만, 한 가지는 성공했다"며 "태평양을 횡단하는 자유 국가들을 어느 때보다 가깝게 만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한국과 일본, 호주, 뉴질랜드는 정기적이고 적극적으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에 참여하고 있으며, 특히 현재 유럽과 인도·태평양 안보는 그야말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ympathy@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코로나 해제에 다문화 혼인 반등···출생아는 역대최저 [서울=뉴시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2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를 보면 지난해 다문화 혼인은 1만7428건으로 1년 전보다 3501건(25.1%) 증가했다.[세종=뉴시스]용윤신 기자 = 코로나19 여파로 감소했던 외국인 아내 또는 남편과의 혼인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특히 코로나19 입국금지 등의 영향으로 크게 감소했던 베트남 여성과의 혼인이 2000건 이상 대폭 증가했다. 하지만 다문화 가정의 출생아 수는 반등하지 못하고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2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를 보면 지난해 다문화 혼인은 1만7428건으로 1년 전보다 3501건(25.1%) 증가했다.다문화 혼인 건수는 2016년부터 꾸준히 증가세를 보여왔으나, 코로나19 영향으로 지난 2020년(1만6200건)과 2021년(1만3900건) 2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22008년 통계 집계 이래 가장 적은 수준을 기록한 뒤 지난해 코로나19 영향이 줄면서 다시 반등했다.전체 혼인에서 다문화 혼인이 차지하는 비중도 9.1%로 1.9%포인트(p) 올라갔다. 이 수치 역시 2015년(7.4%→7.7%→8.3%→9.2%→10.3%)부터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였다. 2020년(7.6%)과 2020년(7.2%)을 시작으로 내림세로 돌아선 뒤, 지난해 다시 반등했다.임영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2020년과 2021년 혼인건수가 많이 감소했는데 지난해 코로나가 많이 풀리면서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2019년 만큼은 회복하지 못하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다문화 유형별로는 외국인 아내와의 혼인 비중이 66.8%로 가장 많았고 그 뒤로 외국인 남편 20.0%, 귀화자 13.2% 순이었다.다문화 혼인을 한 남편의 경우 45세 이상의 비중이 31.2%로 가장 많다. 이후 30대 초반 19.3%, 30대 후반 17.1% 순이었다. 아내의 경우 30대 초반이 24.6%, 20대 후반 24.0%, 30대 후반 14.9% 순으로 많았다.다문화 혼인에서 남편 연상부부가 74.5%로 가장 많고, 아내 연상이 19.1%, 동갑이 6.4%를 차지했다. 남편이 10세 이상 연상인 부부는 35.0%로 전년보다 10.2%p 증가했다.다문화 혼인을 한 남녀 간의 평균 초혼 연령 차이는 6.7세로 전년보다 2.1세 증가했다. 남편의 평균 초혼 연령은 36.6세로 전년보다 1.6세 증가, 아내는 29.9세로 전년보다 0.5세 감소했다.남편의 평균 재혼 연령은 49.7세, 아내는 40.4세로 전년보다 남편은 0.3세 증가, 아내는 0.6세 감소했다. *재판매 및 DB 금지국적별로 보면 코로나19 기간 크게 건수가 감소했던 베트남 혼인 건수가 회복되는 모습이다.지난해 다문화 혼인을 한 외국인 또는 귀화자 아내의 출신 국적은 베트남이 23.0%로 가장 많았다. 베트남 비중은 전년 대비 9.4%p 증가했다. 건수로 봐도 베트남은 2021년 1883건에서 지난해 4001건으로 2118건 증가했다.베트남 출신 아내와의 혼인건수는 2016년 무렵부터 중국을 상회하기 시작해 2019년에는 크게 앞질렀다. 하지만 코로나19 기간 출입국 등의 문제로 중국보다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중국은 6.1%p 감소하면서 17.8% 다시 2위로 밀려났다. 건수도 3324건에서 3104건으로 220건 줄었다. 3위인 태국은 6.1%p 줄어든 11.1%였지만 건수는 전년 대비 343건 늘었다.남편의 출신 국적은 미국이 8.0%로 가장 많았다. 중국(6.5%), 베트남(3.4%)이 뒤를 이었다. 전년 대비 비중은 미국과 중국이 각각 1.3%p, 2.0%p 감소, 베트남은 0.3%p 증가했다.건수로는 미국과 베트남은 각각 93건, 156건 증가, 중국은 54건 감소했다.임영일 과장은 "코로나19 기간에 중국 혼인 건수도 감소를 했지만 베트남이 더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다시 회복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다문화 이혼은 7853건으로 전년(8424건)보다 571건(-6.8%) 감소했다. 다문화 이혼은 2013년부터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추세다. 전체 이혼(9만3232건)에서 다문화 이혼이 차지하는 비중은 8.4%로 0.1%p 증가했다.평균 결혼생활 지속기간은 10.0년으로 전년대비 0.6년 증가했다. 다문화 이혼을 한 부부의 결혼생활 지속기간은 5년 미만이 31.8%로 가장 많고, 10년 이상~15년 미만(23.6%), 5년 이상~10년 미만(22.1%) 순으로 많았다.다문화 이혼 중 결혼생활 지속기간 5년 미만의 비중은 2012년 53.7%에서 2022년 31.8%까지 감소했으나, 출생기준 한국인 간의 이혼(17.4%)보다는 높은 수준이다.하지만 회복된 혼인건수와 달리 출생아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모습이다.지난해 다문화 출생아는 1만2526명으로 전년(1만4322명)보다 1796명(-12.5%) 감소했다. 전체 출생이 24만9000명으로 전년보다 4.4% 감소한 데 비해, 다문화 부모의 출생아는 12.5% 감소해 상대적으로 감소폭이 컸다. 전체 출생에서 다문화 출생이 차지하는 비중은 5.0%로 전년보다 0.5%p 감소했다.다문화 출생아 중 남아는 6410명, 여아는 6116명, 성비(여아 100명당 남아)는 104.8명으로, 출생기준 한국인 부모의 출생성비 104.7명보다 높았다.임 과장은 "혼인은 반등했지만 출산은 감소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며 "모(母)가 외국인인 경우가 비중이 여전이 크지만 부(父) 비중이 커지다 보니 다문화 출생은 2008년 피크 이후 감소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광주=뉴시스] 변재훈 기자 = 광주 북구 새마을부녀회 회원들과 한복을 입은 다문화 여성들이 21일 북구 양산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열린 '추석 명절 송편 나눔' 행사에 참석해 송편을 빚고 있다. (사진=광주 북구 제공) 2023.09.2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공감언론 뉴시스 yonyon@newsis.com
- · 日 야쿠시마 앞바다서 6명 탑승 美 오스프리 CV22기 추락···최소 1명 사망
- · OECD, "내년 세계경제 2.7% 성장"···2.2% 예상했던 올해는 2.9%
- · 조홍식 기후환경대사, COP28 정상회의에 대통령 특사로 참석
- · 수단 '프라미스 작전' 공 세운 외교부 직원 11명에 포상
- 1무등산 꼬막재 인근서 신원불상 두개골 발견···경찰 수사..
- 2끊임없이 나오는 서비스로 배 채운다? 광주 신상 맛집추천..
- 311월 금통위 '동결' 전망···한은 '매파 메시지'에 쏠린 눈..
- 4"7990원 반값 딸기 20t 푼다" 홈플러스, 한 달간 '홈플..
- 5"냉장고·세탁기 빌트인" LH, 영암 임대주택 입주시작..
- 6"같은 건물인데 4층부터만 전세사기 피해 지원된다니···"..
- 7'도심 속 또다른 도심' 광주 전방·일신방직 부지 개발사업 탄력..
- 8"돈 벌어와" 화정동서 가출 청소년 성매매 알선한 20대들..
- 9스님이 타는 중고차, '놀라운 시세' 얼마? ..
- 10"협의이혼 중 男동료와 바람 핀 아내···" 불륜 해당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