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인권백서 발간···"미국·유럽서 인권 무참히 유린"뉴시스
- 오늘부터 22대 총선 예비후보 등록···선거구는 '미확정'뉴시스
- 거래소, 내년 단일가매매 적용 저유동성 종목 20개 예비 선정뉴시스
- 기시다 내각 지지율, 23%로 6%P↓ 지난해 10월 내각 출범 후 최저뉴시스
- '9번째 황금장갑' 양의지 "내년에 더 잘할 수 있단 자신감"뉴시스
- 미처 전하지 못한 진심···삼성 구자욱 "승환·민호 형, 감사해요"뉴시스
- 불·독·이, EU 전체차원의 대 하마스 특별경제 제재 요구뉴시스
- 이낙연 "신당창당, 지혜 모을 것···새해 전에는 결단"뉴시스
- 고용장관, 새벽배송 업체들 만나 "종사자 건강 보호" 당부뉴시스
- 한중우호연합총회, 한·중 협력 기여 10여명 시상뉴시스

[서울=뉴시스] 문성대 기자 = 현역 KBO리그 통산 출장 경기 수 부문 1위 강민호(38·삼성 라이온즈)가 해당 부문 2위 경신을 눈 앞에 두고있다.
지난 27일까지 통산 2222경기에 출장한 강민호는 역대 2위 정성훈(전 KIA·2223경기)의 기록 경신에 단 2경기만을 남겨두고 있다.
2004년에 롯데에 입단한 강민호는 9월19일 사직 현대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렀고, 리그 10년차였던 2013년 8월8일 잠실 LG전에서 27세 11개월 21일의 나이로 1000경기 출장을 달성했다. 지난 2022년 4월30일 광주 KIA전에서는 역대 15번째로 2000경기 출장을 달성했다.
다른 포지션에 비해 체력 소모가 심한 포수임에도 불구하고 KBO리그에서 활약한 20번의 시즌 중 17시즌을 100경기 이상, 출장 기회를 얻기 시작한 2005시즌부터 시즌 평균 117경기를 출장하며 끈기와 꾸준함을 과시했다. 통산 출장 경기 수 10위 이내의 선수 중 포수 출신은 강민호가 유일하다.
또한 그는 통산 1위인 전 LG 박용택의 2237경기에도 상당히 근접했다. 올 시즌 중 경신은 불가능하지만 변수만 없다면 2024시즌 초반에 경신이 유력하다.
◎공감언론 뉴시스 sdmun@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전통의 명가' KIA, 황금장갑 수상 실패...자존심 구겼다 광주 진흥고 출신의 양의지(두산베어스)가 개인 통산 9번째이자 6년 연속 골든글러브 수상에 성공했다. [뉴시스 DB] 프로야구 KIA타이거즈가 2023 시즌 각 포지션 별 최고 활약선수를 가리는 골든글러브 시상식에서 빈손의 설움을 겪었다. 정규시즌에서 6위에 그쳐 가을야구 진출에 실패한 KIA는 골든글러브 시상식에서도 무관에 그치며 아쉬움을 삼켰다.KBO는 11일 서울 삼성동에 위치한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2023 신한은행 SOL KBO 골든글러브' 시상식을 개최했다.골든글러브 수상자는 올 시즌 KBO리그를 담당한 취재기자, 사진기자, 중계방송사 PD, 아나운서, 해설위원 등 미디어 관계자들의 투표로 선정한다. 투표는 한국시리즈까지 모두 종료된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1일까지 이뤄졌다.KIA는 투수 양현종, 이의리, 2루수 김선빈, 유격수 박찬호, 외야수 이우성, 소크라테스, 지명타자 최형우까지 총 7명의 후보를 배출했으나 모두 고배를 마셨다.아무래도 정규시즌 6위에 그친 초라한 성적과 선수 개개인의 성적 또한 골든글러브를 수상에는 미치지 못했기 때문으로 보인다.타이거즈가 전신인 해태 시절부터 골든글러브를 손에 넣지 못한 것은 이번까지 모두 15번째다. '암흑기'였던 1998~2001년까지 4년 연속 골든글러브 수상자를 배출하지 못했고, 2004·2005년, 2007·2008년, 2010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9년에도 황금장갑은 다른 팀에게 돌아갔다.2022년에는 나성범이 외야수 부문서 황금장갑을 손에 넣어 팀의 자존심을 세웠지만 2년 만에 KIA는 다시 무관의 설움을 맛봤다.KIA는 이번 시상식에서 유격수 부문 수상이 당초 가장 유력하게 여겨졌다. 유격수 부문에서 박찬호는 터줏대감 오지환의 아성에 도전하며 생애 첫 황금장갑을 넘봤다. 130경기에 출전한 그는 타율 3할1리 3홈런 30도루로 정교함에서 2할6푼8리의 오지환을 능가했다. 또 전매특허였던 안정적인 수비는 여전했다. 출루율은 0.378, OPS(출루율+장타율)는 0.734로 이 역시 커리어하이를 작성했다.여러모로 생애 첫 골든글러브 수상이 유력하게 여겨졌지만 LG트윈스의 29년만 한국시리즈 우승과 한국시리즈 MVP의 프리미엄을 등에 업은 오지환을 꺾지 못했다. 박찬호는 41.2%의 득표율을 받았다.한편, 광주 진흥고 출신의 양의지는 개인 통산 9번째이자 6년 연속 골든글러브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또 이번 시상식에서 각 포지션별 골든글러브는 투수 페디(NC다이노스·득표율 91.8%), 포수 양의지(두산베어스·득표율 73.5%), 1루 오스틴 딘(LG트윈스·득표율 93.1%), 2루수 김하성(키움히어로즈·득표율 89%) 3루수 노시환(한화이글스·득표율 84.2%) 유격수 오지환(LG트윈스·득표율 52.9%) 외야수 홍창기(LG트윈스·득표율 88.7%), 구자욱(삼성라이온즈·득표율 63.6%), 박건우(NC다이노스·득표율 47.8%) 지명타자 손아섭(NC다이노스·득표율 87.6%)가 각각 수상했다.이재혁기자 leeporter5125@mdilbo.com
- · '9번째 황금장갑' 양의지 "내년에 더 잘할 수 있단 자신감"
- · 미처 전하지 못한 진심···삼성 구자욱 "승환·민호 형, 감사해요"
- · '격전지' 유격수 부문, 34표차 희비···오스틴, 예상 깨고 최다 득표
- · '생애 첫 GG' 한화 노시환 "3루수 골든글러브, 10개 채우고파"(종합)
- 1'수도관 세척' 광주 우산·두암·중흥동 흐린물 주의를..
- 2아파트 하락세···'30% 더 하락' vs '일시적 현상'..
- 3이상민 "故 어머니 45년간 혼자 사셔···시집가라고 할 걸 '..
- 4'두암→문흥' 제2순환路 각화IC 진출램프 전면통제..
- 5늦게 가면 품절! 큼직한 소고기 가득한 몸보신 국밥..
- 6올해 최고 인기 유튜브 영상은 '차쥐뿔' 카리나편..
- 7건설업계 "공사비가 문제"···층간소음 대책에 '떨떠름'..
- 8층간소음 못 잡으면 준공 불허···곧 대책 발표..
- 9'빗길에 123㎞ 과속 운전' 3명 숨지게 한 30대, 금고 3..
- 10"백일 아기 성교육 시키라는 친구···손절하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