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까지…전남대 한국화전공 대학원생
우물과 해시태그로 관계와 소통 형상화

현대사회 속 #(해시태그)는 어떤 의미일까.
스마트폰 화면 속 버튼 하나, 가상의 관계망을 규정지어주는 #(해시태그)는 현재의 키워드를 읽어낼 수 있게 한다. SNS라는 온라인 관계망 속 해시태그를 보면 현재의 이슈들이 얼마나 빠르게 확산되고 변화되어가는지 짐작해볼 수 있다. 특히나 MZ세대라 불리는 젊은 층에서 이 해시태그는 그들만의 소통수단이 되어가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들에서 착안된 전시가 열린다.
광주 동구 제봉로에 자리한 예술공간 집은 1∼10일까지 '#우물정'전을 열고 있다.

이번 전시에는 전남대 예술대에서 한국화를 전공하고 있는 대학원생과 졸업생 총 10인이 각각의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전시는 참여작가 중 한 사람인 박화연 작가가 기획했다.
현대인들에게 익숙한 #(해시태그)는 그 모양새가 한자 '井'(우물 정)과도 같다.
사람의 입으로 표현할 수 있는 모든 말들이 연결되어 나타나며 동시대인들의 다양한 시선들 또한 집결해 있는 매개체로서 #를 해시태그, 혹은 우물 정으로 바라보았다.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우물'이라는 장소도 그러한 곳이었다.
'우물'은 물을 긷는 곳으로 마을 사람들에게 식수를 제공하는 중요한 장소였다. 마을 사람들에게 우물가는 빨래터가 되기도, 생활의 지혜나 소문을 나누는 은밀한 장소가 되기도 했다.
복합적인 장소로서 기능했던 우물은 사람들의 삶의 양식이 변화함에 따라 희귀한 장소가 되어버렸고 이제 그 실체보다는 '우물'이라는 말과 글만이 남겨져 있다.
키보드 위에 새겨진 자판 하나, 스마트폰 화면 속 버튼 하나 그리고 SNS라는 가상의 관계망 속에서 수없이 드러나는 문자 하나로서 현대인들에게 익숙한 해시태그는 옛 장소인 우물처럼 수많은 관계망을 만들어낸다.
그렇게 해시태그와 우물의 연계성에서 출발, '#'를 각자의 다양한 해석을 담아 제작한 작품들이 모아졌다. 참여 작가는 권예솔, 나지수, 박화연, 설 박, 양세미, 왕샤오난, 왕해음, 윤준영, 전정연, 조하늘 총 10명이다. 다양한 개성이 돋보이는 작품들을 출품했다. '#우물정'의 기획의도 아래 각자의 작품세계 안에서 변화의 모색을 실험해보고 또 다양한 시도를 해본 작품들이다.
전시를 기획한 박화연 작가는 "전통적인 우물은 물을 긷는 곳으로 마을 사람들에게 식수를 제공하는 중요한 장소였다. 마을 사람들에게 우물가는 빨래터가 되기도, 생활의 지혜나 소문을 나누는 은밀한 장소가 되기도 했다"며 "복합적인 장소로서 기능했던 우물은 사람들의 삶의 양식이 변화함에 따라 희귀한 장소가 되어버렸고 이제 그 실체보다는 '우물'이라는 말과 글만이 가까이 남겨져 있다"고 말했다.
전시는 이처럼 실제와 가상이라는 서로 다른 장소성을 지녔지만 '관계의 매개'로서 존재해 온 공통된 지점을 발견하며 전통적 우물과 #(해시태그,우물정)의 다층적 의미를, 그 가운데에서 작동하는 예술의 가치를 조명하는 장으로 펼쳐진다.
최민석기자 cms20@mdilbo.com
-
제42주년 5·18민중항쟁 기념행사 특별기획 '오월의 밤'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는 오는 28일 5·18민주광장에서 진행되는 특별기획사업 '오월의 밤'을 실시한다고 24일 밝혔다.행사위에 따르면 '오월의 밤'에서는 '5·18 경험세대, 계승세대, 미래세대로부터 듣는 오월이야기'라는 주제로 영상과 현장 대담을 통해 진솔한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갖는다.또 이 자리에서 미래세대인 초등학생들이 5·18을 생각하면서 표현한 미디어 파사트 작품을 공개할 예정이다.'오월의 밤' 행사 직후 항쟁의 마지막을 기리는 오월풍물단의 '오월 닫는 굿'은 '오월큰기'와 '행사위원회기'를 내리며 이 시대의 오월정신을 담아 민주, 통일, 평화, 평등의 시대를 위해 하루하루 열심히 살기를 기원하고 다짐하는 시간이 될 것으로 보인다.행사위 관계자는 "'오월의 밤'은 많은 시민이 함께 할 수 있도록 시대변화를 반영해 5·18을 직접 경험하지 않은 세대가 만들어 가는 특별기획사업으로 5·18사적지를 활용해 구상한 행사다"며 "1980년 5·18민중항쟁 마지막 날의 의미를 재조명하고, 항쟁의 끝이 아닌 '진상규명과 계승의 시작'을 시민들과 함께 기억하고 세대를 넘어 이어지는 오월정신을 담고자 기획된 만큼 많은 지역민들의 참여를 바란다"고 당부했다.한편 오월풍물단은 42주년 5·18민중항쟁을 기념하며 지난 17일 망월동 민주열사묘역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오월 여는 굿'을 시작으로 광주 시내 주요 사적지에서 '오월길 길놀이'를 통해 민주평화대행진을 이끌고 전야제의 시작을 알리기도 했다.김종찬기자 jck41511@mdilbo.com
- · GMAP 전시 이해 높이는 공연 즐기세요
- · 무대로 전하는 광주 시민들의 오월정신
- · 문명자 가야금병창&슬라브의 전설 오케스트라, 광주무대
- · 여름밤 잔디밭서 즐기는 발레
- 1아파트 공사장서 타설 장비 맞은 노동자 1명 사망(종합)..
- 2광주시민이면 '최대 3천만원'···알아야 챙기는 보험 혜택..
- 3"공사 안하는 게 낫다" 수주 꺼리는 건설사들···분양도 '안갯..
- 4[Q&A] "철거 할테니 인도하라"는 임대인, 내 권리금은?..
- 5그대 이름은 장미, 지금 꼭 만나야 할 광주장미명소..
- 6이정도면 생선 쌈?···광주 코다리찜 맛집..
- 7'40년 만기' 주담대, 보험사도 확산되나..
- 8임동 아파트 공사장서 콘크리트 타설 장비 낙하···1명 사망..
- 9"골목길에 임의로 주차선 그린 카센터···어떻게 해야 하나요"..
- 10아파트 공사장서 타설 장비 맞은 노동자 1명 사망(종합2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