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U-우크라 정상회담, 24일 對러 제재 발표···"EU 가입하려면 목표 도달해야"뉴시스
- 신봉선 "박진주, 예능 위해 '이것' 시작해" 폭로···뭐길래?뉴시스
- 박명수 '아침 고기론' 주장···"삼겹살 먹으러 오전에 만나야"뉴시스
- 젤렌스키 "'요새' 바흐무트 지키기 위해 싸울 것"···對러 제재도 호소뉴시스
- 세계의 입맛을 사로잡은 K-푸드···EBS '극한직업'뉴시스
- 노사연, 50년만에 식욕 컴백···김종민 "데뷔 이후 가장 많이 드셔"뉴시스
- 美국무장관, 中 '정찰 풍선' 논란 후 베이징 방문 전격 취소뉴시스
- "한바퀴 돌아"···유재석, 손웅정 감독 빙의해 혹독 훈련뉴시스
- [속보]"블링컨 국무장관, 美 상공에서 '중국 풍선' 발견된 후 베이징 방문 연기"뉴시스
- 나토 "러, 미국과의 핵통제 '뉴스타트 조약' 존중해야···사찰 재개" 촉구뉴시스
기사내용 요약
정부, 다음 달 청약제도 개편 나서
저가점자 위한 추첨제 물량 확대
서울도 전용 85㎡이하 추첨제

[서울=뉴시스] 홍세희 기자 = 올해는 금리 인상과 집값 고점 인식, 경기 침체 우려 등으로 부동산 매수 심리가 급격히 위축되면서 무주택자들도 '내 집 마련'에 나서길 주저했습니다.
새해 목표로 내 집 마련을 꿈꾸고 있다면 이번에 바뀌는 청약제도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정부가 다음 달 주택공급규칙을 개정해 청약제도를 개편하는데 자신의 청약가점에 따라 공략해야 하는 포인트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번 청약제도 개편의 핵심은 청약가점이 낮은 2030세대를 위한 추첨제 물량이 대폭 확대되는 것입니다.
그동안 수도권 전역이 부동산 규제지역으로 묶여 있으면서 청약가점이 낮은 청년층 사이에서는 청약당첨이 그야말로 '하늘의 별 따기'란 불만이 많았습니다.
조정대상지역에서는 선호도가 높은 전용면적 85㎡ 이하에서 추첨제 물량이 25%에 불과했고, 투기과열지구에서는 전부 가점제 물량으로 공급됐기 때문입니다.
2030세대는 부양가족이 적고, 무주택기간이 짧아 4050세대보다 청약가점이 낮을 수밖에 없어 가점제 물량이 많은 현행 제도에서는 청약 당첨이 어려울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앞으로 투기과열지구에서 전용 60㎡이하는 가점제 40%, 추첨제 60%로 공급하고, 전용 60~85㎡는 가점제 70%, 추첨제 30%로 공급하기로 했습니다.
조정대상지역에서도 전용 60㎡이하는 추첨제 비율을 60%까지 높이고, 전용 60~85㎡도 추첨제 물량을 30%로 상향 조정할 예정입니다.

특히 정부가 최근 서울과 경기 과천, 성남, 하남, 광명 등을 제외한 전 지역을 부동산 규제지역에서 해제하면서 인천과 경기 대부분 지역에서는 추첨제 청약 기회가 더 많아집니다.
비규제지역에서는 전용 85㎡이하는 60%, 전용 85㎡초과는 100% 추첨제로 청약 당첨자를 정하기 때문입니다.
한편 청약 제도가 저가점자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개편되면서 그동안 청약을 위해 가점을 쌓아온 무주택 4050세대에게 역차별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부양가족수와 무주택기간, 청약통장 가입기간 등으로 가점이 매겨지는 현행 청약제도에 따라 오랜 시간 가점을 쌓아온 무주택 중장년층 사이에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나올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3~4인 가구 중장년층의 수요가 많은 전용 85㎡초과 대형 평형에는 가점제 물량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앞으로 투기과열지구에서는 전용 85㎡초과의 경우 가점제 물량이 기존 50%에서 80%로 늘고, 추첨제는 20%로 줄어들게 됩니다.
조정대상지역에서도 가점제 물량은 30%에서 50%로 늘고, 추첨제 물량은 70%에서 50%로 줄어듭니다.
※'집피지기' = '집을 알고 나를 알면 집 걱정을 덜 수 있다'는 뜻으로, 부동산 관련 내용을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하기 위한 연재물입니다. 어떤 궁금증이든 속 시원하게 풀어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공감언론 뉴시스 hong1987@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1·3부동산 대책 한달···광주 아파트 시장 반응 '미지근' 1월 5주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한국부동산원 제공 1·3 부동산 대책이 나온지 한 달이 지났지만, 광주 아파트 시장 반응은 미지근하다.일부 아파트는 급매물로 거래가 이뤄졌지만, 고금리와 경기 위축, 전셋값 하락 등의 영향으로 관망하는 분위기는 여전하다.최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2023년 1월 5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지난 주 광주 아파트 매매가격은 0.27% 하락했다.1·3 부동산 대책 발표 후 아파트 가격 하락폭은 다소 둔화되고 있는 모양새지만 아직 매수자들의 관망하는 흐름은 바뀌지 않았다.지난해 12월까지만 해도 매주 0.45%씩 떨어지던 광주 아파트 가격은 올해 규제 해제 등의 영향으로 서서히 하락폭이 얕아지기 시작했다. 1월 2주에는 -0.36%를 기록하더니, 1월 3~4주는 -0.29%를 기록하는 등 다소 안정감을 찾아가고 있다.지역별로도 비슷한 흐름이다. 한달새 동구만 -0.35%에서 -0.59%로 하락폭이 커졌을 뿐, 서구는 -0.35%에서 -0.28%로, 북구는 -0.51%에서 -0.15%로, 광산은 -0.61%에서 -0.31%로, 남구는 -0.35%에서 -0.28%로 하락폭이 줄었다.1월5주 시도별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한국부동산원 제공그러나 전세가격이 크게 빠지고 있다. 급격한 전세가격 하락이 매매가격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1월 5주 광주 전세가격은 0.29% 빠졌다. 전세시장 움직임이 둔화된 상황에서 수개월째 매매가격보다 전세가격이 더 가파른 하락폭을 그리고 있어 매수자들의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다.심리적 마지노선인 전세가격이 빠지면 아파트 매수자들은 매매가격이 더 떨어질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대부분 전세 대출의 금리가 매매보다 높은 만큼 당분간 전세가격 하락은 지속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최현웅 사랑방부동산팀장은 "규제가 다소 완화됐지만 고금리가 여전하고, 앞으로의 주택 가격이 반등할지, 계속 떨어질지 확실하지 않아 관망 중인 분들이 여전히 많은 것 같다"며 "부양책을 기대하는 분들도 있지만, 추가적인 부양책은 큰 의미가 없을 수도 있다. 고금리가 근본적인 원인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지나친 규제 완화는 나중에 금리가 안정이 됐을 때 시장 과열을 일으킬 수도 있는 뇌관이 될 수도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한편 1월 5주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42%) 대비 하락폭이 축소됐다. 수도권(-0.48%→-0.44%), 서울(-0.31%→-0.25%) 및 지방(-0.35%→-0.32%)이 모두 하락폭이 축소됐다. 시도별로는 세종(-1.00%), 경기(-0.55%), 대구(-0.46%), 부산(-0.46%), 대전(-0.41%), 인천(-0.39%), 경남(-0.31%), 전남(-0.29%), 울산(-0.29%)등이 하락했다.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 전국 아파트 매매가 2주간 0.4% 떨어져···전세도 -0.9%
- · 한동훈 "조직적 대규모 전세사기, 검찰이 직접 수사"
- · '안심전세 앱' 출시...신축빌라 시세·악성 임대인 정보 '한눈에'[전세사기 대책]
- · 공인중개사·감정평가사, 전세사기 '원스크라이크 아웃'[전세사기 대책]
- 14개월 딸 모텔에 방치해 사망···20대 부모 징역형..
- 2"3분만에 치킨 값 번다"···한 푼이라도 아낄 이색 짠테크..
- 3"그래도 될 곳은 된다"···분양시장 '옥석가리기' 본격화..
- 4특례보금자리론 사흘 만에 7조 신청...조기 마감 가능성은..
- 5"KTX·SRT 역세권은 다르네"...지방 부동산 침체에도 관심..
- 6섬진강·폭포·바다전망 '뷰깡패' 근교 맛집..
- 7지방 청약시장 매서운 한파...할인분양·계약 축하금 등 건설사들..
- 81·3부동산 대책 한달···광주 아파트 시장 반응 '미지근'..
- 9금리 깎고 수수료 없애고···신차 할부경쟁, 소비자는 웃는다..
- 10경매 등장한 1세대 아이폰, 약 6000만원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