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국무장관, 中 '정찰 풍선' 논란 후 베이징 방문 전격 취소뉴시스
- "한바퀴 돌아"···유재석, 손웅정 감독 빙의해 혹독 훈련뉴시스
- [속보]"블링컨 국무장관, 美 상공에서 '중국 풍선' 발견된 후 베이징 방문 연기"뉴시스
- 나토 "러, 미국과의 핵통제 '뉴스타트 조약' 존중해야···사찰 재개" 촉구뉴시스
- 中 "美 영공 비행 풍선 유감···정찰 아닌 기상 연구 위한 것"뉴시스
- CIX 소속사 "배진영 배척설, '사실무근'···허위사실 유포 법적대응"뉴시스
- '극한의 얼음물 속 생존시간 단 15분'···공군의 혹한기 구조훈련 뉴시스
- [녹유 오늘의 운세] 57년생 위험하다 싶었던 고비 지나갑니다뉴시스
- 1월 유로존 종합 PMI 50.3·1P↑..."7개월 만에 경기확대"뉴시스
- 美 1월 일자리 51만7000개 증가···실업률은 3.4%로 반세기 최저(종합)뉴시스
기사내용 요약
한국은행, 기준금리 3.25%로 0.25%p 인상
여전채 AA+ 3년물 금리 6% 수준 유지 중
"내년도 신용 스프레드 확대 가능성 존재"

[서울=뉴시스] 남정현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4일 기준금리를 사상 6회 연속 인상하며, 카드사들의 자금조달 환경이 더욱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카드사들은 주로 여전채(회사채)를 통해 자금의 70% 이상을 조달하는데 최근 채권 시장이 경색되자, 조달구조 단기화 우려에도 당장 급한 불을 끄기 위해 CP·은행차입을 늘리고 있다. 최근 몇 달 들어선 수익성 악화해 카드론 금리를 쫓기듯이 올리고 있다.
26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한은 금통위는 24일 기준금리를 연 3.0%에서 3.25%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이로써 한은은 지난 4월 이후 6차례 연속으로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은 이미 예상된 상태였지만 채권 시장 경색과 맞물려 카드업계는 자금조달 환경이 더 악화될 것을 우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여전채 AA+ 3년물 금리는 5%대 후반의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여전채 금리는 지난 7일 6.088%로 올해 최고치를 경신했다. 연초만 하더라도 여전채 금리 수준은 2%대에 불과했는데, 업계에선 여전채 금리가 연내 7%까지도 오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만큼 여전채와 국고채의 차이인 신용 스프레드 역시 2%포인트를 돌파했다. 이는 올 초 0.537%포인트와 비교해 약 4배 가량 차이나는 수준이다. 국채보다 신뢰도가 낮은 여전채는 프리미엄을 붙여 판매하는데, 신용 스프레드가 커졌다는 것은 그만큼 시장에서 여전채의 매력이 떨어진다는 의미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카드사들은 조달구조 단기화를 감수하고 CP·은행차입을 통해 자금을 수혈하고 있다. 한국신용평가 등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전체 7개 카드 전업사의 조달자금(125조4333억원) 중 회사채(79조5837억원)의 비중은 63.4%로 나타났는데, 전년(72.5%)과 비교해 9.1%포인트나 떨어진 수준이다.
이에 반해 CP 조달 비중은 19.3%(24조2220억원)로 1년 전(12.4%·12조8900억)보다 7%포인트가량 늘었다. 은행에서 돈을 빌리는 일반차입금은 3조1874억원으로 전체의 2.5%를 차지했다. 지난해만 하더라도 이 비중은 0.8%에 불과했다.
카드사들은 수익성 악화에 울며 겨자 먹기로 카드론 금리를 끌어올리고 있다. 상반기까지 전업계 카드사의 카드론 평균 금리는 기준금리 인상의 여파에도 12~13%에 불과했다. 1월 13.66%, 2월 13.54%, 3월 13.26%, 4월 12.98%, 5월 12.97%, 6월 12.92%, 7월 12.87% 등이었다. 하지만 이들 카드사의 10월 말 카드론 평균 금리는 13.20~15.16%로 집계됐다. 9월과 비교해 상·하단이 각각 0.74%포인트, 1.18%포인트 올랐다.
문제는 신용 스프레드는 내년에도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이석호·이수진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원은 '보험·비은행 산업 환경변화와 전망'을 통해 내년도 여신업계 조달금리 환경에 대해 "향후 기준금리 상승 기조가 유지될 경우 카드채 AA0 3년물과 국고채 3년물 간 금리 스프레드는 지속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존재한다"며 "카드채 간 만기별 수익률 스프레드 확대는 조달구조 단기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nam_jh@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1·3부동산 대책 한달···광주 아파트 시장 반응 '미지근' 1월 5주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한국부동산원 제공 1·3 부동산 대책이 나온지 한 달이 지났지만, 광주 아파트 시장 반응은 미지근하다.일부 아파트는 급매물로 거래가 이뤄졌지만, 고금리와 경기 위축, 전셋값 하락 등의 영향으로 관망하는 분위기는 여전하다.최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2023년 1월 5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지난 주 광주 아파트 매매가격은 0.27% 하락했다.1·3 부동산 대책 발표 후 아파트 가격 하락폭은 다소 둔화되고 있는 모양새지만 아직 매수자들의 관망하는 흐름은 바뀌지 않았다.지난해 12월까지만 해도 매주 0.45%씩 떨어지던 광주 아파트 가격은 올해 규제 해제 등의 영향으로 서서히 하락폭이 얕아지기 시작했다. 1월 2주에는 -0.36%를 기록하더니, 1월 3~4주는 -0.29%를 기록하는 등 다소 안정감을 찾아가고 있다.지역별로도 비슷한 흐름이다. 한달새 동구만 -0.35%에서 -0.59%로 하락폭이 커졌을 뿐, 서구는 -0.35%에서 -0.28%로, 북구는 -0.51%에서 -0.15%로, 광산은 -0.61%에서 -0.31%로, 남구는 -0.35%에서 -0.28%로 하락폭이 줄었다.1월5주 시도별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한국부동산원 제공그러나 전세가격이 크게 빠지고 있다. 급격한 전세가격 하락이 매매가격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1월 5주 광주 전세가격은 0.29% 빠졌다. 전세시장 움직임이 둔화된 상황에서 수개월째 매매가격보다 전세가격이 더 가파른 하락폭을 그리고 있어 매수자들의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다.심리적 마지노선인 전세가격이 빠지면 아파트 매수자들은 매매가격이 더 떨어질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대부분 전세 대출의 금리가 매매보다 높은 만큼 당분간 전세가격 하락은 지속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최현웅 사랑방부동산팀장은 "규제가 다소 완화됐지만 고금리가 여전하고, 앞으로의 주택 가격이 반등할지, 계속 떨어질지 확실하지 않아 관망 중인 분들이 여전히 많은 것 같다"며 "부양책을 기대하는 분들도 있지만, 추가적인 부양책은 큰 의미가 없을 수도 있다. 고금리가 근본적인 원인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지나친 규제 완화는 나중에 금리가 안정이 됐을 때 시장 과열을 일으킬 수도 있는 뇌관이 될 수도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한편 1월 5주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42%) 대비 하락폭이 축소됐다. 수도권(-0.48%→-0.44%), 서울(-0.31%→-0.25%) 및 지방(-0.35%→-0.32%)이 모두 하락폭이 축소됐다. 시도별로는 세종(-1.00%), 경기(-0.55%), 대구(-0.46%), 부산(-0.46%), 대전(-0.41%), 인천(-0.39%), 경남(-0.31%), 전남(-0.29%), 울산(-0.29%)등이 하락했다.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 카드론 금리 왜 안 내리나···여전채 금리, 두 달 새 1.5%p↓
- · 지방 청약시장 매서운 한파...할인분양·계약 축하금 등 건설사들 안간힘
- · 임종룡 우리금융 차기 회장 "조직혁신과 新기업문화 정립"(종합)
- · 페이코인, 6일 서비스 종료 확정...다날, 금융위에 패소
- 14개월 딸 모텔에 방치해 사망···20대 부모 징역형..
- 2"3분만에 치킨 값 번다"···한 푼이라도 아낄 이색 짠테크..
- 3"그래도 될 곳은 된다"···분양시장 '옥석가리기' 본격화..
- 4특례보금자리론 사흘 만에 7조 신청...조기 마감 가능성은..
- 5"KTX·SRT 역세권은 다르네"...지방 부동산 침체에도 관심..
- 6섬진강·폭포·바다전망 '뷰깡패' 근교 맛집..
- 7지방 청약시장 매서운 한파...할인분양·계약 축하금 등 건설사들..
- 81·3부동산 대책 한달···광주 아파트 시장 반응 '미지근'..
- 9금리 깎고 수수료 없애고···신차 할부경쟁, 소비자는 웃는다..
- 10경매 등장한 1세대 아이폰, 약 6000만원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