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은지, 여자 배영 200m 동메달···25년만 韓 선수 시상대뉴시스
- 통일부 "남북관계발전법 위헌 환영···전 정부 졸속 개정"뉴시스
- 복지부, 사회서비스 분야 최초 145억 규모 투자 펀드 결성뉴시스
- 럭비 이명근 감독 "금메달 못 따 아쉽지만···다시 뛰겠다"뉴시스
- 尹, 국군의 날 우중 시가행진···"국군 장병 믿고 언제나 응원" [뉴시스Pic]뉴시스
- 민주, '이재명 대북문건 지시' 의혹에 "검찰에 그런 진술한 적 없어" 뉴시스
- 유도 김민종, 첫 출전 AG에서 동메달 쾌거뉴시스
- 가습기살균제 공청회 개최···가해 기업 입장차만 재확인 뉴시스
- '문보경 결승타' 야구대표팀, '문동주 3이닝 5K' 상무 2-0 제압뉴시스
- 태권도 '깜짝 금메달' 박혜진 "스스로 증명할 수 있었던 金"뉴시스
기사내용 요약
이달 12일부터 클라우드컴퓨팅법 개정안 시행
보안인증 받은 민간 클라우드 우선 고려해야
전파 분야 규제 완화…이음5G 단말기 도입 절차 단축

[서울=뉴시스]심지혜 기자 = 민간 클라우드 이용을 노력해야 하는 의무 대상이 공공기관에서 국가기관, 지자체로 확대된다. 고시에 근거해 운영하던 클라우드 보안인증 제도의 법적 근거도 마련됐다.
정부는 올해 달라지는 제도와 법규 사항 등을 정리한 ‘2023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 자료에 이같은 내용을 안내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이달 12일부터 클라우드 컴퓨팅법 개정안이 시행된다. 그동안에는 KT, 네이버, NHN 등과 같은 민간 클라우드 이용 노력을 공공기관 중심으로만 해왔다면 이제부터는 대상이 국가기관과 지자체로 넓어진다. 보안인증을 받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우선 고려해야 하는 것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민간 클라우드를 이용 대상이 행정기관으로 늘어난 만큼 클라우드 시장이 활성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고시에 근거해 운영하던 클라우드 보안인증 제도 관련 사항을 법률로 상향입법해 근거를 명확히 했다.
과기정통부는 보안인증을 위해 별도의 인증기관과 평가기관을 추가로 운영한다. 별도의 인증기관을 운영하는 만큼 국가 예산으로 무료 제공했던 보안인증 수수료는 유료로 바꾼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달 중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을 통해 안내할 예정이다. 다만 중소기업 경우 수수료의 일부를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과기정통부는 전파분야 규제도 완화했다. 우선 5G 특화망인 이음5G에서 이용하는 장착형 단말기(로봇·지능형 CCTV 등에 장착해 이용하는 단말기)는 도입시 허가가 필요했으나 앞으로는 별도의 허가 절차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따라 이음5G 단말기 도입시 허가·검사 처리기간이 약 2달 줄어들어 서비스 확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위성방송국 허가 유효기간은 5년에서 7년으로 늘렸다. 심사를 준비하는 방송사업자의 부담을 줄여준다는 취지다.
신속한 이동통신망 구축 유도를 위해 기지국 장비재배치, 소프트웨어(SW) 변경 등에 따른 변경검사에서는 전수검사 대신 표본추출방식으로 전환한다. 표본검사 적용을 통해 기지국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이에 따른 인력과 비용은 커버리지 확대 등에 투입하도록 유도해 통신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전파사용료 연납고지서도 발행한다. 연납고지서 납부만으로 별도의 신청없이 연납이 가능해지고 전파사용료 부과·징수 제도를 정비해 SNS 등을 통한 전자고지도 도입한다.
특히 전파사용료 1년분을 일시에 납부할 경우 10%의 감면을 제공한다.
과기정통부는 전파사용료를 납부하는 이용자가 편리하게 전파사용료를 확인·납부할 수 있도록 하고, 연납 제도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파사용료 부담을 완화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반도체 제조시설 등 전파응용설비를 이용하는 시설의 전파응용설비 검사 부담도 완화했다. 그동안에는 전파응용설비 검사시 공정을 중단해야 해 부담이 있었는데, 앞으로는 다중차폐시설을 갖춘 건물에 대해서는 공정 중단 없이 밖에서 전파응용설비를 일괄 검사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했다. 검사 방식 개선을 통해 공정 중단에 대한 불확실성이 줄어들고 검사 기간은 7일에서 1일로 짧아진다. 이뿐 아니라 검사 수수료도 낮췄다.
과기정통부는 "반도체 제조기업 등의 출하량이 늘어나고 글로벌 산업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iming@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1[카드뉴스] 추석 당일여행으로 좋은 광주 근교 나들이!..
- 2'46억 건물주' 서경석, 건물 첫 공개에 "누추하다"..
- 3주택담보대출 금리 다시 7% 넘어···영끌족 '한숨'..
- 4예산시장 살린 백종원, 다음은 "전남 강진"···협약 체결..
- 5"고소한 기름 냄새"···추석에 가볼만한 광주 '전 맛집' 어디..
- 6내년까지 100만호 짓는···민간 건설에 40조원 금융지원..
- 7"아이오닉5, 480만원 깎아드려요" 현대·기아 전기차 '파격 ..
- 8벽식구조도 철근 누락···LH 본사는 몰랐다..
- 9카페 오래 머문 노인에 "젊은 고객 안와"···사장의 쪽지..
- 10"어쩐지 피곤하더라니…" 하루 적정 수면시간은 몇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