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수원 "원전 수소제거설비 설치 때 안전검증 완료"뉴시스
- '처분 불복' 학폭 가해자, 강남에 몰려···집행정지·행정소송 최다뉴시스
- 주 69시간 근로 관련 2030 민심 잡기 위한 여당·정부·대통령실의 선택은? [뉴시스Pic]뉴시스
- 美 디즈니 월드, 서비스노동자 최저임금 20% 인상 잠정합의뉴시스
- 한상혁 방통위원장, 구속 기로···수장 공백 현실화되나뉴시스
- "클린스만호 보러왔어요"···울산에 만원 관중 운집뉴시스
- 길거리 행인 돌로 내리친 '묻지마 폭행' 20대 집행유예뉴시스
- 이은해 "진실 밝혀달라" 2심서도 혐의 부인...檢, 무기징역 구형(종합)뉴시스
- 檢 '인하대 성폭행 추락사' 2차 가해 누리꾼 9명 보완 수사하라"뉴시스
- 美·캐나다, 국경 불법 이민자 문제 합의 예정뉴시스

[서울=뉴시스] 정옥주 기자 = 주택가격이 9억원 이하면 소득에 상관없이 최대 5억원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는 '특례보금자리론'의 신청금액이 출시 사흘 만에 7조원을 넘어서는 등 초반 '흥행'을 달리고 있다.
3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신청접수를 개시한 특례보금자리론은 지난 1일까지 3일간 7조원 가량이 신청된 것으로 집계됐다. 첫날인 30일에만 신청금액이 3조원을 훌쩍 넘어서는 등 사흘 만에 총 공급규모(39조6000억원)의 약 17.7%가 소진된 것이다.
앞서 지난해 접수한 '안심전환대출'의 최종 신청금액이 석달여 만에 9조원 수준에 그친 것과는 대조적인 반응이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9월15일부터 12월 말까지 최저 연 3.7% 고정금리로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을 갈아탈 수 있는 우대형 '안심전환대출' 공급에 나섰으나, 최종 신청금액이 공급한도인 25조원의 약 38%에 불과한 9조4787억원(7만4931건) 수준에 그친 바 있다.
안심전환대출의 경우 출시 첫날 2386억원(2406건)이 접수되는 데 그치는 등 3일간 신청금액이 약 7473억원(7966건)으로 1조원에도 못미쳤다.
하지만 특례보금자리론은 같은 기간 안심전환대출 보다 10배 가까운 신청금액이 접수되며, 소비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신청 기간은 내년 1월 말까지이나, 이 같은 신청 속도가 이어질 경우 조기 마감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 신청 첫날인 지난달 30일 개시 직후 한국주택금융공사(주금공) 홈페이지에 수천명의 접속 대기줄이 형성되기도 했다. 접속자가 몰리는 바람에 1000~3000명의 대기자가 발생하며 10분 이상 접속이 지연되기도 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접속 대기줄은 수백명대로 줄었다가 오후엔 다시 1000명대로 늘며 적잖은 접속대기 시간이 소요됐다. 현재는 대부분 대기없이 원활하게 접속할 수 있지만, 간헐적으로 대기가 발생하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막판 금융위원회가 특례보금자리론의 금리 수준을 낮춘 것이 수요를 끌어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당초 금융당국은 특례보금자리론의 적용금리를 '우대형' 4.65~4.95%, 일반형 4.75~5.05%로 결정했으나, 이후 이러한 금리 수준은 오히려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보다도 높은 것이 아니냔 비판이 쏟아졌다.
이에 금융당국은 적용금리를 일반형은 연 4.25~4.55%, 우대형은 연 4.15~4.45%으로 기존 보다 0.5%포인트 낮췄다. 이에 따라 일반형의 경우 연 4.25(10년)~4.55%(50년)가 적용되며, 우대형은 0.1%포인트 낮은 연 4.15~4.45%의 금리가 적용된다. 인터넷을 통한 전자약정방식(아낌e)으로 신청하면 추가로 0.1%포인트 금리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더해 우대형 상품의 경우 저소득청년(0.1%포인트), 신혼가구(0.2%포인트), 사회적배려층(0.4%포인트) 등에 대한 우대금리까지 감안하면, 최저 연 3.25~3.55% 금리로 이용 가능하다.
아울러 무엇보다 금융권에서는 주택가격 기준이 6억원에서 9억원으로 늘어난 반면, 소득제한이 없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에서 제외돼 대출 한도를 늘리는데 유리하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고 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특례보금자리론의 금리 부담이 줄어든 데다 그간 DSR에 걸려 대출한도가 부족했거나 전세보증금 반환 등 당장 자금이 필요한 이들이 많은 관심을 보이는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금융권 관계자도 "시중금리가 정점을 찍고 내려올 것이란 전망이 확산되면서 고정금리 정책상품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도 있었다"며 "하지만 중도상환수수료가 면제돼 추후 금리가 내려가더라도 다른 시중은행 대출상품으로 부담없이 갈아탈 수 있으니 신청이 몰리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특례보금자리론은 내년 1월 말까지 신청이 가능하다. 대출 신청은 주금공 홈페이지 또는 스마트주택금융 앱을 통해 가능하다. 온라인 대출 신청이 어려운 경우에는 SC제일은행 창구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다만, 이 경우 아낌e 금리할인(0.1%포인트)은 적용되지 않는다.
주택금융공사 관계자는 "예상보다 더 특례보금자리론에 대한 관심이 높고 많은 이들이 신청을 하고 있다"며 "다만 아직 출시 초반이기 때문에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지는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channa224@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특례보금자리론 신청 '폭주'···신규주택 구입 40.8% 달해 기사내용 요약출시 7주 만에 올해 공급 목표 56.3% 채워'기존대출 상환' 전체의 51.2%…'신규주택 구입' 40.8% 달해[서울=뉴시스] 정옥주 기자 = 특례보금자리론이 출시 이후 7주간 약 22조3000억원이 신청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올해 공급 목표액 39조6000억원의 56.3%에 해당하는 규모다. 다만 최근 코픽스 금리가 인하되면서 특례보금자리론도 추가적인 금리인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21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최승재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주택금융공사(주금공)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1월30일 출시 특례보금자리론의 신청금액이 지난 17일 기준 22조2918억원(9만8582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용도별 전체 신청현황을 보면 '기존대출 상환'의 경우 5만449건이 접수돼 전체의 51.2%를 차지했다. 신청금액은 10조5740억원이다. '신규주택 구입'의 경우 4만265건이 접수돼 전체의 40.8%에 달했고, 신청금액은 9조8013억원이다. '임차보증금 반환'의 경우 7868건으로 8%를 차지했으며, 신청금액은 1조9164억원으로 집계돼 총 22조2918억원이 신청됐다 .각 시도별 '우대형'에 대한 신청현황을 살펴보면, 수도권의 경우 총 3만2516건이 접수돼 50.8%를 차지했고, 비수도권은 3만1437건으로 49.2%에 달했다. 우대형의 기존대출 상환은 43.4%, 신규주택구입은 48.9%, 임차보증금 반환은 7.7% 로 각각 집계됐다.'일반형'의 시도별 신청현황을 살펴보면 수도권의 경우 2만4177건이 접수돼 69.8%를 차지했으며, 비수도권의 경우 1만452건이 접수돼 30.2%가 신청됐다. 기존대출 상환의 경우 65.6%, 신규주택 구입은 26%, 임차보증금 상환은 8.4%다.대출신청 단계에서 금리 인하를 적용받을 수 있는 우대금리 신청은 '아낌 e'의 경우 85.3%로 가장 많은 신청이 있었다. 저소득청년과 신혼부부 사회적배려층의 경우 각각 8.1%, 3.6%, 2.6%로 여전히 저조한 실적을 나타내었다. 또 특례보금자리론을 신청한 가구의 소득별 분포를 살펴보면 3000만원 이하가 10.9%, 3000만~5000만원 이하가 26.4%, 5000만~7000만원 이하가 22.9%, 7000만~9000만원 이하가 17.1%, 9000만원 이상은 22.7%로 집계됐다. 이밖에 주택가격별 분포는 3억원 이하 19.1%, 3억~6억원 이하 54.4%, 6억~9억원 이하가 26.5%로 집계돼 대부분 6억원 이하의 주택 관련 신청이 많았다.특례보금자리론의 대출 승인 등 종결은 6만297건(61.2%)으로 13조7037억원이 처리됐다. 불승인의 경우 3553건(3.6%)로 7750억원이, 심사중의 경우 3만4732건(35.2%)으로 7조8131억원이다.최승재 의원은 "특례보금자리론이 출시 후 약 7주 만에 공급규모의 50%를 넘어섰다"며 "코픽스 금리가 하락하고 있는 만큼 추가 금리인하가 필요하지만 주된 재원 마련 수단인 주택저당증권(MBS) 금리가 오를 경우를 대비해 다른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주택담보대출 등 은행 대출금리 산정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 하락으로 주담대 금리가 내리고 있기 때문에 특례보금자리론 또한 금리를 내릴 필요가 있지만, 향후 MBS 금리가 오를 경우 역마진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에 새로운 관점에서 금리를 인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최 의원은 "특례보금자리론은 신규주택 구입이 40%를 넘어 내 집 마련에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여전히 높은 금리상태가 유지돼 부담이 되고 있어 추가적인 금리인하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며 "정책보험으로서 신용생명보험을 정부가 지원해 차주의 신용을 보강하고, 그만큼 대출금리 인하를 유도하는 방안 등을 고려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공감언론 뉴시스 channa224@newsis.com
- · 2월 광주 아파트 거래량 큰폭 증가···경기 회복 신호탄?
- · 특례보금자리론 한 달만에 신청금액 17조 돌파
- · [위클리]'연봉 8천만원' 홍어썰기학교, 수강생 모집 중
- · 3월 특례보금자리론 금리 동결···최저 연 4.05%
- 1분양가 보다 낮은 '마이너스피' 매물 속출..
- 2'시세보다 저렴' 광주 매입임대주택 117가구 공급, 자격은?..
- 3"송중기도 다녀갔다" 광주 벚꽃놀이 명소 어디길래?..
- 4'범현대' 노현정 남편 건설사, 자금난에 법정관리 신청..
- 5가뭄지속 광주·전남 35㎜ 봄 단비···"해갈엔 미미"..
- 6여기로 갈까? 전남 벚꽃명소 주변 맛집..
- 7이자율 1300% 악몽, 안 끝났다···불법사금융 여전히 활개..
- 8"대파부터 한우 등심까지" 롯데마트, 최대 40% 할인..
- 9"봄 라운딩 나가볼까"···골프 용품, 알뜰 구매 노하우는 ..
- 10치킨 시키면 3만원? 교촌 다음달 가격 3000원 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