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수원 "원전 수소제거설비 설치 때 안전검증 완료"뉴시스
- '처분 불복' 학폭 가해자, 강남에 몰려···집행정지·행정소송 최다뉴시스
- 주 69시간 근로 관련 2030 민심 잡기 위한 여당·정부·대통령실의 선택은? [뉴시스Pic]뉴시스
- 美 디즈니 월드, 서비스노동자 최저임금 20% 인상 잠정합의뉴시스
- 한상혁 방통위원장, 구속 기로···수장 공백 현실화되나뉴시스
- "클린스만호 보러왔어요"···울산에 만원 관중 운집뉴시스
- 길거리 행인 돌로 내리친 '묻지마 폭행' 20대 집행유예뉴시스
- 이은해 "진실 밝혀달라" 2심서도 혐의 부인...檢, 무기징역 구형(종합)뉴시스
- 檢 '인하대 성폭행 추락사' 2차 가해 누리꾼 9명 보완 수사하라"뉴시스
- 美·캐나다, 국경 불법 이민자 문제 합의 예정뉴시스
기사내용 요약
애플페이, EMV 비접촉결제 규격 NFC기술 사용
국내 범용 MST 방식보다 속도 빠르고 보안 우수
NFC, 비접촉식 결제방식도 장점으로 작용할 듯

[서울=뉴시스] 남정현 기자 = 애플페이가 정부의 공식 허가를 받으면서 아이폰 이용자들이 이르면 다음달 초부터 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현대카드가 애플페이에 대한 배타적 사용권을 포기하면서, 타 카드사들도 애플페이를 도입할 것이라는 소비자들의 기대가 커지고 있다.
4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전날 "여신전문금융업법(여전법)·전자금융거래법(전금법) 등 관련 법령과 그간의 법령해석 등을 고려한 결과, 신용카드사들이 필요한 관련 절차 등을 준수해 애플페이 서비스 도입을 추진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애플페이는 삼성페이와 같은 간편결제 서비스의 일종으로, 신용·체크카드를 휴대폰 앱에 저장해 실물카드의 휴대 없이도 결제를 가능하게 한 서비스다. 2014년 출시돼 현재 약 70여국에서 서비스 중인데, 지난해 기준 결제규모 면에서 전 세계 2위의 엄청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그간 금융당국은 개인정보의 해외 유출 가능성과 현대카드가 애플페이 시스템 구축을 위해 EMV Contactless(EMV 비접촉결제) 규격의 NFC(근거리무선통신)단말기를 무상으로 보급하는 것이 여전법 위반 소지가 있는지 등을 중점적으로 살펴봤다. 삼성페이는 NFC·MST(마그네틱보안전송) 방식을 모두 지원하지만, 애플페이는 삼성페이와 달리 NFC 방식만 지원해 오프라인 결제를 위해 해당 단말기 설치가 선행돼야 하기 때문이다.
EMV Contactless(EMV 비접촉결제)는 글로벌 신용카드사들의 연합체이자 사실상의 결제기술 국제 표준화기구 역할을 하고 있는 EMVCo.의 비접촉식 결제 표준이다. 애플페이, 구글페이를 비롯해 글로벌 버전 삼성페이 버전도 EMV Contactless(EMV 비접촉결제)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EMV는 유로페이·마스터카드·비자의 약자로 EMVCo.에는 이들 3사를 비롯해 JCB, 아메리칸익스프레스, 유니온페이, 디스커버, 다이너스클럽 등 글로벌 카드·결제사들이 회원사로 소속돼 있다.
금융위는 현대카드가 해당 단말기 도입에 지원금을 지급하는 것과 관련해 "신규 도입되는 단말기의 경우 애플페이뿐 아니라, NFC기술을 활용하는 타 카드사의 서비스도 할 수 있도록 범용성 부분을 열어놨기 때문에 이는 리베이트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유권해석이 나왔다"고 말했다.
이는 애플과의 협의에 따라 타 카드사들도 해당 NFC단말기 사용뿐만 아니라 애플페이 도입까지도 가능해졌음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그동안 고가(대당 15~20만원)인 탓에 EMV 규격 NFC단말기 도입을 망설였던 신용카드 가맹점들이 이전보다 전향적인 태도를 취하며, 애플페이는 시장의 예상보다 더 빠르게 간편결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현재 국내에서 NFC단말기를 통해 결제가 가능한 가맹점 수는 전체의 2%인 약 6~7만개 수준으로 알려졌다. 이는 삼성페이가 MST·NFC 방식에 모두 호환하지만, 통상 MST 방식으로 결제가 이뤄졌던 이유다.
또 금융당국은 현재 연매출 30억원 이하 영세·중소가맹점에 대해서는 신용카드사회공헌재단과 동반성장위원회가 공동으로 NFC·QR 단말기를 지원 중이다. 이 중 일부 단말기는 애플페이 결제가 가능하다.
여기에 애플페이가 사용하는 EMV를 기반으로 한 근거리무선통신(NFC·Near Field Communication)은 MST보다 전송 속도와 암호화 기술이 뛰어나 보안성이 더 좋은 점이 강점으로 꼽힌다. 팬데믹 상황이 여전히 끝나지 않은 만큼 비접촉 방식 역시 소비자의 각광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NFC는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 내 칩에 담긴 정보를 결제 단말기가 읽음으로써 접촉 없이도 최대 10㎝ 범위 내에서 결제가 가능하다. 블루투스와 비슷한 기능이라고 이해할 수 있는데, 블루투스와 달리 페어링(연결) 과정이 필요없다.
이와 달리 국내 범용인 마그네틱보안전송(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은 실물 신용카드 결제 방식의 연장선에 있다. MST단말기는 기존 신용카드로 마그네틱 결제 시 발생하는 '자기장' 방식을 통해 간편결제를 가능하게 했다. 따라서 기존 MST단말기가 설치된 가맹점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만큼, 국내에서 빠르게 도입될 수 있었다. 이 기술은 삼성전자가 인수한 미국의 벤처기업 루프페이가 2015년에 특허를 낸 기술이다.
다만 수수료 문제는 여전히 카드사들의 애플페이 도입을 늦출 수 있는 요소로 남아 있다. 연 단위로 카드사에 결제 수수료를 요구하는 삼성페이와 달리 애플페이는 건당 수수료를 카드사에 부과하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애플페이와 관련한 수수료 등 비용을 고객 또는 가맹점에 부담하게 하지 않아야 한다고 밝혔는데, 현재 애플페이는 카드사에 통상 소비자 사용금액의 0.1~0.15%를 수수료로 받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nam_jh@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배민에서도 '애플페이'로 결제하세요 배달의민족 Apple Pay 결제 지원 시작(사진=배달의 민족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서울=뉴시스]박미선 기자 = 이제 배달의민족에서도 애플페이를 이용할 수 있다.배민 운영사 우아한형제들은 배민 애플리케이션(앱) 이용 시 애플페이 결제를 지원한다고 24일 밝혔다.애플페이는 아이폰, 아이패드, 애플워치 등 애플 기기를 사용하는 고객이 빠르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간편결제 서비스다. 아이폰에서 지갑 앱을 열고 ‘카드 추가(+)’를 클릭한 후 안내 절차에 따라 애플페이를 지원하는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를 등록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다.애플페이는 배민 앱에서도 쉽고 간편하게 쓸 수 있다.배민 앱 주문하기 단계에서 결제수단을 ‘Apple Pay’로 선택하면, 고객이 애플페이에 등록한 카드로 결제할 수 있다. 애플페이는 배민1, 배달, 포장 등 서비스에서 이용 가능하다.◎공감언론 뉴시스 only@newsis.com
- · GS칼텍스, '애플페이' 도입···국내 정유사 최초
- · SPC, 전국 7000여개 매장에 '애플페이' 전격 도입
- · "젋고 역동적 변화" 홈플러스, 애플페이 도입
- · 이디야커피, 애플페이 결제 지원 시작
- 1분양가 보다 낮은 '마이너스피' 매물 속출..
- 2'시세보다 저렴' 광주 매입임대주택 117가구 공급, 자격은?..
- 3"송중기도 다녀갔다" 광주 벚꽃놀이 명소 어디길래?..
- 4'범현대' 노현정 남편 건설사, 자금난에 법정관리 신청..
- 5가뭄지속 광주·전남 35㎜ 봄 단비···"해갈엔 미미"..
- 6여기로 갈까? 전남 벚꽃명소 주변 맛집..
- 7이자율 1300% 악몽, 안 끝났다···불법사금융 여전히 활개..
- 8"대파부터 한우 등심까지" 롯데마트, 최대 40% 할인..
- 9"봄 라운딩 나가볼까"···골프 용품, 알뜰 구매 노하우는 ..
- 10치킨 시키면 3만원? 교촌 다음달 가격 3000원 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