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일제약 "국내 권리 보유 골관절염 신약, 유효성 입증"뉴시스
- 쇼골프, 국내 최초 日 100대 기업의 복합 리조트 인수뉴시스
- 삼성스팩9호, 코스닥 상장 첫날 140%대 급등[핫스탁]뉴시스
- "연말 통신비 줄이자"···U+유모바일, 추천 가입 시 '통신비 반값'뉴시스
- 왓챠 "이달 배리어프리 자막 콘텐츠 2배 이상 늘릴 것"뉴시스
- SK그룹, 최태원 사촌동생 '최창원 2인자' 체제 나올까뉴시스
- 추경호 "1월 한영 FTA 개선 협상 개시···원전산업 대화체 가동"뉴시스
- 임신 가능성 1%였다···황보라, 시험관 4차 과정 공개뉴시스
- 설현, 맥주 한잔도 깜찍하게[★핫픽]뉴시스
- 한-캐나다, 기후 대응 협력 강화···'기후대화' 매년 개최뉴시스

[세종=뉴시스] 오종택 기자 = 14개월 만에 3%대로 상승폭이 줄어든 소비자물가 상승률 둔화세가 이어질지 주목된다. 3월까지 역대급 세수 부족 상황이 정상화 수순을 밟을지도 관심이다.
27일 관련 부처에 따르면 통계청은 다음 달 1일 '5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한다.
올해 1월(5.2%) 이후 상승폭이 둔화하며 지난 4월에는 3%대(3.7%)로 진입했다. 물가상승폭이 3%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해 2월 이후 14개월 만이다. 지난해 5월 5.4%의 높은 상승률을 감안하면 지난달 증가폭은 기저효과 등으로 더 줄어들 가능성도 있다.
다만, 정부가 인상시기를 늦췄던 2분기 전기·가스요금 인상분을 지난달 16일부터 적용하면서 물가 상승요인이 발생했다.
변동성이 큰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 상승률은 전체 물가 상승률보다 높아 물가 불안을 자극할 요인은 여전하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7일 6개 소비자단체 대표와 만나 "물가 둔화 흐름이 이어지고 있으나 국제 에너지 가격 변동성 등 불확실성이 있다"며 "물가 안정을 정책 우선순위에 두고 지속해서 대응하겠다"고 했다.
31일에는 통계청이 4월 산업활동동향을 내놓는다. 전월에는 부진하던 반도체 부문이 깜짝 반등하며 전산업생산 지수가 전월보다 1.6% 증가했다.
1년 만에 최대 폭 증가에도 경기 부진 흐름에서 벗어났다고 판단하긴 이르다는 평가였다. 두 달 연속 큰 폭의 상승 흐름을 이어간다면 2분기 회복세가 뚜렷해질 것이란 기대감도 형성될 전망이다.
같은 날 기재부는 4월 국세수입 현황을 발표한다. 올해 들어 3월까지 국세수입은 87조1000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24조원 감소했다.
이는 3월 기준 역대 최대로 세수 진도율은 21.7%에 불과했다. 정부는 부동산 시장 침체와 기업 실적 부진 영향에 세수가 급격히 줄었지만 법인세 분납 효과 등으로 감소폭은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ohjt@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1부부싸움 중 생후 6개월 자녀 베란다서 던져 살해한 20대 친모..
- 2올해 가장 유용했던 연말정산 추가 공제 항목은..
- 3"회 10만원 이게 맞나···따지는 손님에게 욕설도" ..
- 4광주시, '미래차 선도도시' 날개 달았다..
- 5광주서 6개월 아이 15층서 던진 20대母···이틀전 '가정폭력..
- 6[날씨] 광주·전남 아침 영하권 추위···큰 일교차 '..
- 7삼천포82동우회, 사천시에 이웃돕기 성금 200만원 기탁..
- 8사천시문화예술회관서 오페라 '사람의 묘약', 8~9일 공연..
- 9[속보]민주당 비명계 이상민, 탈당···"이재명 사당화 등 변질..
- 10'돌풍의 팀' 광주FC, 역대 최고 성적+A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