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르는 여성 집에 잠입·감금·성폭행 시도 30대 구속···"도주 우려"뉴시스
- 기안84 대상 기대 중? "중요한 시상식···6kg 빼"뉴시스
- 2023 KBO리그 최고의 선수는? '골든글러브 시상식' [뉴시스Pic]뉴시스
- '2등의 품격' 지킨 KIA 박찬호···"너무 멋있어" 고마워한 LG 오지환뉴시스
- 김하성, '상습 폭행' 주장 임혜동 명예훼손으로 추가 고소뉴시스
- 한미 "北 군비 증대, 민생·경제 파탄만···외교에 호응해야"뉴시스
- 이경규 "강호동 남 험담 절대 안 해···유재석은 김수환 추기경 급"뉴시스
- 검찰 '수사관 뇌물 의혹' 황재복 SPC 대표이사 압수수색뉴시스
- 박소담 "암 수술 후 목소리 회복 8개월···매일 울었다"뉴시스
- 한선화 "술도녀 전 긴 공백기···우울하고 힘들었다"뉴시스
3년 뒤 주택 공급 줄어들게 돼 시장 영향
올해 입주 물량은 예년에 비해 많은 편

[서울=뉴시스] 강세훈 기자 = 올해 주택 분양 물량이 작년에 비해 50%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경기가 악화하자 건설사들이 분양 일정을 미루고 있기 때문이다.
30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4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1~4월 누계 전국 공동주택 분양 실적은 3만9231가구로 전년 동기(7만8894가구) 대비 50.3% 감소했다.
수도권은 2만4206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42.9% 감소했고, 지방은 1만5025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58.9% 감소했다.
유형별로 보면 일반분양 물량은 2만9039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53.6% 감소했고, 임대주택은 2394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68.6% 감소했다. 조합원분은 7798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10.3% 감소했다.
주택 인허가와 착공 실적도 크게 감소했다. 1~4월 주택 인허가 누계 실적은 전국 12만3371가구로 전년 동기(16만842가구)에 비해 23.3% 감소했다. 수도권은 4만4566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23.7% 감소했고, 지방은 7만8805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23.1% 감소했다.
주택 착공 실적도 1~4월 누계 전국 6만7305가구로 전년 동기(11만8525가구) 대비 43.2% 감소했다. 수도권은 3만7546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44.5% 감소했고, 지방은 2만9759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41.6% 감소했다.
건설 관련 지표가 동반 하락했다는 것은 그만큼 부동산 경기가 얼어붙었다는 뜻이다. 원자재 가격 상승 등 건설경기 악화로 공사를 미루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특히 주택 인허가와 착공 실적이 크게 감소하면 2~3년 뒤 주택 공급이 줄어들게 돼 시장에 영향을 미친다. 이런 점을 정부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지난 16일 기자간담회에서 "공급 부분에서 공급업체들이 인허가나 착공, 분양을 계속 미루는 경향이 있어서 빠르면 3년 뒤에 공급 위축으로 인한 가격 폭등 요인이 될 수 있는지 등에 대해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올해 준공(입주) 물량은 예년에 비해 많은 편이다. 입주 물량 증가는 전세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 1~4월 누계 주택 준공은 12만3083가구로 전년 동기(10만9534가구)에 비해 12.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언론 뉴시스 kangse@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건설업계 "공사비가 문제"···층간소음 대책에 '떨떠름' [서울=뉴시스] 김명원 기자 =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1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공동주택 층간소음 해소방안 발표를 하고 있다. 2023.12.11. kmx1105@newsis.com[서울=뉴시스] 이예슬 기자 = 정부가 층간소음 기준을 맞추지 못하는 신축 아파트에 대해 준공을 내주지 않는 방안 등이 담긴 대책을 내놨다. 이에 대해 전문가와 건설사들은 원칙을 준수한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다만 잘 짓는 만큼 돈이 더 드는데, 공사비에 반영이 될 지 여부가 관건이라고 봤다.1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번 대책의 핵심은 층간소음 기준 미달 시 보완시공을 의무화하고, 이를 이행하지 않으면 준공을 불허하는 것이다. 지금은 보완시공 및 손해배상 등 보완조치가 권고사항에 불과한데, 이를 강제하겠다는 것이다.시공 중간 단계에서도 층간소음을 측정해 품질관리를 강화하고, 검사 가구 수는 현재 2%에서 5%로 확대한다. 기존 주택에 대해서는 현재 진행 중인 바닥방음 보강지원을 두텁게 하는 방안을 관계부처와 협의 중이다.A 건설사 관계자는"개선이 필요한 부분이라 업계 역시 공감하는 부분이 있지만 준공 불허는 너무 강한 부담을 지우는 게 아닐까 싶다"며 "지금도 작은 하자로 입주민과 건설사 간 소송이 빈번한 상황에서 오히려 더 큰 분쟁을 초래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이 관계자는 "지금도 건설사들이 자체적으로 층간소음 신기술 적용 바닥구조를 갖고 있는데, 이 기술을 쓰면 당연히 공사비가 올라가지만 최근 공사비 분쟁이 많아서 적용이 어렵다"며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발주처들이 신기술을 적용해 달라고 요구하면 건설사가 공사비를 올려 달라고 답하는데, 그렇게 되면 LH도 그냥 기존대로 가자는 반응이 나오는 실정"이라고 했다.결국 공사비와 사업성 문제라는 지적이다. 층간소음 저감 기술의 핵심은 바닥층을 두텁게 하는 것인데 업계에서는 통상 이 기술을 쓸 때 20층 짜리 아파트를 지을 때 1층이 없어지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조합 입장에서도 사업성에 신경을 안 쓸 수 없다.B 건설사 관계자도 "지금까지도 할 수 없어서 안 한게 아니라 사업성이 안 나와서 안 한 것으로 봐야 한다"며 "대책이 시행되는 순간 사업성이 몇 프로는 낮아지기 때문에 규제를 적용 받기 전 사업을 빨리 추진하려는 조합과 시행사가 생길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이어 "시공사 입장에서는 자체적으로 층간소음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력이 있다면, 또 조합이 자체 산출한 금액보다 경제성이 있다면 수주 경쟁력이 높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전문가들도 층간소음을 줄이는 데 필요한 비용들이 분양가에 반영되는지 여부가 중요하다고 봤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번 발표의 골자는 원칙의 준수 여부에 따른 페널티 부과로, 달리 표현하면 원칙 준수를 강제하는 것이니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조치"라고 평가했다.다만 "사업자 입장에서는 건축물의 성능 향상에 소요되는 관련 비용들이 분양가에 적절하게 반영된다면 문제될 것은 없지만 이번 발표에서는 이 부분이 빠졌다"며 "사업자에게 희생을 강요하는 것이 아닌, 손실을 줄여주는 방안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공감언론 뉴시스 ashley85@newsis.com
- · '평균 10억' 투자금 굴리는 자산가가 눈독들인 종목은?
- · "이자 캐시백"···소상공인에 최대 150만원 돌려준다
- · 광주은행, 전영업점 한겨울쉼터 운영
- · 층간소음 못 잡으면 준공 불허···곧 대책 발표
- 1'수도관 세척' 광주 우산·두암·중흥동 흐린물 주의를..
- 2아파트 하락세···'30% 더 하락' vs '일시적 현상'..
- 3이상민 "故 어머니 45년간 혼자 사셔···시집가라고 할 걸 '..
- 4'두암→문흥' 제2순환路 각화IC 진출램프 전면통제..
- 5늦게 가면 품절! 큼직한 소고기 가득한 몸보신 국밥..
- 6건설업계 "공사비가 문제"···층간소음 대책에 '떨떠름'..
- 7올해 최고 인기 유튜브 영상은 '차쥐뿔' 카리나편..
- 8층간소음 못 잡으면 준공 불허···곧 대책 발표..
- 9'빗길에 123㎞ 과속 운전' 3명 숨지게 한 30대, 금고 3..
- 10"백일 아기 성교육 시키라는 친구···손절하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