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검찰, 이재명 법카 유용 관련 경기도청 압수수색뉴시스
- 도로·철도와 전력망 '공동 건설'···특별법 제정해 송전망 건설 단축뉴시스
- 정부, 넥슨 지주회사 NXC 등 국세물납주식 4.9조 공개매각뉴시스
- 수술하려 구치소 나왔다가 도주 마약사범, 석달만에 다시 검거뉴시스
- '남도한바퀴' 투어 이용객 49%↑···겨울 상품도 인기 예감뉴시스
- 카카오 경영회의날 노조 시위···"외부 '준신위'에 조사 맡겨라"뉴시스
- [인터뷰] 네덜란드 외교부 장관 "尹 방문 기대···K반도체·원전과 협력 강화"뉴시스
- 러시아 모스크바에 145년 관측 이래 최대 폭설뉴시스
- 엑세스바이오, '전공정 자동화' 생산 2공장 미국에 개소뉴시스
- '저출산 직격탄' 내년 초교 신입생 수, 40만명 첫 붕괴 전망뉴시스
부천·안산·평택 등 수도권에 73.6%...토지는 미국인 보유가 최다
외국인 주택소유 통계, 국정과제에 따라 첫 공표

[서울=뉴시스] 이예슬 기자 = 정부가 처음으로 외국인 주택소유 통계를 내놨다. 지난해 말 기준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가 가장 많았다. 토지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미국인의 투자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국토교통부는 2022년 말 기준 외국인의 토지·주택 보유통계를 31일 공표했다. 외국인 주택소유 통계는 국정과제에 따라 처음으로 공표하는 통계다.
국토부에 따르면 외국인 8만1626명이 소유한 주택은 모두 8만3512가구였다. 전체 주택(1895만 가구, 가격공시 기준)의 약 0.4% 수준이다. 국적별로 보면 중국인이 4만4889가구로 전체 외국인의 53.8%를 차지했다. 미국(1만9923가구), 캐나다(5810가구), 대만(3271가구), 호주(1740가구) 등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에 6만1498가구(73.6%), 지방에 2만2014가구(26.4%)로 대부분 수도권에 분포했다. 시도별로는 ▲경기 3만1582가구(37.8%) ▲서울 2만1882가구(26.2%) ▲인천 8034가구(9.6%) ▲충남 4518가구(5.4%)에서 많았다. 시군구별로는 ▲경기 부천 4202가구(5.0%) ▲경기 안산 단원 2549가구(3.1%) ▲경기 평택 2345가구(2.8%) ▲경기 시흥 2341가구(2.8%) 순이었다. 서울에서는 강남구(2281가구)에 가장 많았다.
주택 유형별로는 공동주택이 7만5959채였다. 이 중 아파트가 5만135채, 연립·다세대가 2만5824채였다. 단독주택은 7553채로 집계됐다.
1채 소유자가 7만6334명(93.5%)으로 가장 많았지만 2채 소유자도 4121명(5.0%), 3채 이상 소유자는 1171명(1.4%)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기준 외국인이 보유한 국내 토지면적은 2021년 말 대비 1.8%(460만㎡) 증가한 2만6401㎡로 전체 국토 면적의 0.26% 수준이었다. 외국인 보유 토지 공시지가는 32조8867억원으로 1년 전보다 2.6% 증가했다.
국절별로 미국이 2021년 말 대비 2.2%(304만9000㎡) 늘어 외국인 전체 보유면적의 53.4%(1억4095만3000㎡)를 차지했다. 중국이 7.9%(2066만3000㎡), 유럽이 7.2%(1903만㎡), 일본이 6.3%(1671만5000㎡)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국토부는 "외국인의 토지·주택 보유통계와 거래신고 정보를 연계해 이상거래를 조사하는 등 향후에도 엄격하게 외국인의 부동산 투기거래를 관리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ashley85@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전세보증금 떼이느니 월세"···빌라 월세 거래량 5만건 넘어 [서울=뉴시스] 김명년 기자 = 사진은 서울 용산구 빌라촌. 2023.07.06 kmn@newsis.com[서울=뉴시스] 박성환 기자 = "무조건 월세만 찾아요."지난 29일 서울 성북구 길음동의 한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근저당권이 없고, 등기부등본을 떼서 보여줘도 믿지 않는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관계자는 "전세 사기 여파로 보증금을 떼일 수 있다는 우려가 여전하다"며 "월세 선호 현상이 두드러지면서 월세가 아니면 거래 자체가 안 된다"고 전했다.전세 사기 여파로 전세제도 불신이 커진 가운데 빌라(다세대) 월세화 현상이 가속화고 있다. 잇단 전세 사기로 임차인들이 전세를 꺼리는 데다, 전세보증보험 가입 요건이 까다로워졌기 때문이다.올해 1~10월 서울 빌라 월세 거래량이 처음으로 5만건을 넘어서며 빌라 임대차 시장의 월세화가 뚜렷해지고 있다. 빌라 전세의 월세 전환이 가속화하면서 임차인들의 주거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경제만랩이 서울부동산정보광장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1~10월 서울 빌라(다세대·연립주택) 전월세 거래량은 11만1440건으로 나타났다. 이 중 월세 거래량은 5만1984건으로으로 집계됐다. 이는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1년(1~10월 기준) 역대 최대치다.빌라의 월세 거래량은 ▲2020년 2만8043건 ▲2021년 3만5688건 ▲2022년 4만6994건으로 꾸준히 상승했고, 빌라 임대차 계약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도 46.6%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 1~10월 서울 빌라 월세 100만원 이상 거래도 6505건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전세 거래량의 경우 지난해 1~10월 7만6365건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한 뒤 올해 같은 기간 5만9456건으로, 전년 대비 22.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월세 거래에서도 반전세(보증부월세) 거래가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1~10월 서울 빌라 반전세 거래량은 1만2429건이었지만, 올해 1~10월에는 1만5200건으로 전년 대비 22.3% 증가했다.같은 기간 반전세 거래량은 2만9982건에서 3만2140건으로 7.2% 상승했고, 순수월세 거래량은 4583건에서 4644건으로 1.3% 늘었다.서울 25개 자치구에서도 월세 거래가 가장 많은 곳은 송파구로 월세 거래량이 8321건으로 집계됐다. 이어 ▲강남구 3325건 ▲강서구 3192건 ▲광진구 3029건 ▲마포구 2918건 ▲강동구 2887건 ▲서초구 2871건 ▲은평구 2624건 순으로 나타났다.전문가들은 빌라의 전세 기피 현상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권대중 서강대 일반대학원 부동산학과 교수는 "잇단 전세 사기 사건으로 임차인 입장에서 보증금을 지키기 위해서 어쩔수 없는 월세를 택하면서 월세 거래가 늘었다"며 "전세 사기 우려가 여전하고, 전세제도에 대해 불신이 커지면서 빌잔의 전세 기피 현상이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공감언론 뉴시스 sky0322@newsis.com
- · HDC현산 대표이사 등 경영진 '동절기 특별안전점검'
- · 올해 청약 접수, 3건 중 1건은 서울 아파트
- · "산타랠리 시작?"···비트코인, 20개월만에 5300만원 돌파
- · 셀바스AI, 학습분석 솔루션 '셀비 클래스' 미국 ADL 인증 획득
- 1올해 가장 유용했던 연말정산 추가 공제 항목은..
- 2"회 10만원 이게 맞나···따지는 손님에게 욕설도" ..
- 3광주서 6개월 아이 15층서 던진 20대母···이틀전 '가정폭력..
- 4[날씨] 광주·전남 아침 영하권 추위···큰 일교차 '..
- 5삼천포82동우회, 사천시에 이웃돕기 성금 200만원 기탁..
- 6사천시문화예술회관서 오페라 '사람의 묘약', 8~9일 공연..
- 7[속보]민주당 비명계 이상민, 탈당···"이재명 사당화 등 변질..
- 8'돌풍의 팀' 광주FC, 역대 최고 성적+AC..
- 9근생빌라·다중주택 세입자는 전세사기 피해 지원 못 받아..
- 10'오은영의 알콜지옥' 합숙 첫날부터 전원 블랙아웃..